Văn hóa doanh nhân hàn quốc

5 15 0
Văn hóa doanh nhân hàn quốc

Đang tải... (xem toàn văn)

Thông tin tài liệu

1 중간고사 보고서 제목: 한국 기업가문화 이름: Nguyễn Thị Tố Uyên(18041062) 목차 I 서론 II 본론 2.1 기업가문화의 정의 2.2 한국 기업가문화의 특징 2.3 한국 기업가문화의 “덕(德)”특징의 예시 분석 2.4 한국 기업가문화의 “덕” 특징에 대한 평가 결론 III 참고 문헌 I 서론 한국은 짧은 시간에도 놀라운 경제성장 성과를 달성했다 일제 강점기와 남-북한 전쟁으로 가난한 나라에서 벗어나 현재 한국 경제는 세계 10위, 아시아 4위의 경제 대국이 되었다 대한민국 정부와 국민의 노력이 한국의 기적적인 경제발전의 원동력 이라고 볼 수 있지만, 삼성, LG, 현대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재벌에 대한 한국 기업의 기여를 놓치지 않을 수 없다 한국 기업가의 성공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 하나는 한국의 기업가문화를 뽑을 수 있다 II 본론 2.1 기업가문화의 정의 이전에는 오랫동안 문화와 비즈니스가 다른 두 분야로 인식되어 왔으며, 이들 사이에는 아무런 관계도 없었습니다 문화는 진선미 (眞善美)의 가치를 지향하고, 비즈 니스는 돈을 버는 것 외에는 목적이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이상 개념이 바뀌었다 지금 문화와 비즈니스 간의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 다 기업가문화에 대해 다양한 정의들이 존재해 왔다 Duong Thi Lieu는 “기업가의 성 국제통화기금(IMF)의 경제전망(2020) 격을 형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가치, 문화적 틀"이라고 주장한다2 Nguyen Viet Loc은 “기 업가 문화 혹은 기업가 성격은 실제로 기업가 성격, 조직에 참여하는 주체의 문화, 생 산 및 비즈니스 활동을 운영하는 문화”이라고 주장한다 종합하면 다음과 같이 일반 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기업가문화란 “기업문화의 일부이며 공통된 성격, 본질 및 정 체성으로 비즈니스 사람들의 커뮤니티를 대표하는 우수한 모델, 기업 활동과 사회 생 활에서 기업가의 진선미(眞善美) 가치 표현”을 말한다 (Do Minh Cuong, 2010)4 2.2 한국 기업가문화의 특징 위의 정의에 따르면 기업가적 문화는 기업가 자신의 자질과 특성입니다 한국 기업문화의 특징에 대한 많은 선행 연구가 있었으며 각 연구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Le Thi Viet Ha(2020)의 “Văn hóa doanh nhân Hàn Quốc kinh nghiệm Việt Nam”라는 책에서 선행연구의 한국형 리더십과 기업가정신을 바탕으로 “덕 (德)-지(知)-이(利)-체(體)-용(勇)”의 5가지 요소와 14식별 기준이 포함된 한국 기업가문 화를 제시했다 이 다섯 가지 요소는 긴밀한 상호 관계를 가지고 있다 다음 부문에서 삼성 그룹 기업가의 세대를 집중으로 한국 기업가문화의 "덕(德)" 특징의 예시를 분석할 것이다 2.3 한국 기업가문화의 “덕(德)”특징의 예시 분석 여기서 덕은 도덕적 특성으로 이해된다 모든 인간에게 덕은 매우 중요하지만 기업가에게는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경영에서 "덕"은 사업가의 성격이라는 개념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첫째, “덕”은 마인드, 태도이다 그 중에서도 태도와 마인드는 애국심, 민족적 자 랑에서 드러난다 대부분의 한국 기업가들은 애국심이 강하고 민족자존감이 높다 이 러한 특징은 삼성그룹 1세대 창업인 이병철 회장에게서 가장 잘 드러난다 이병철 회 장의 경영이념은 국가와 국민을 위한 경영한다 “사업보국”이다 호암 은 "사업보국의 정신이야말로 삼성의 정신이며 긍지이다."라고 말했다 삼성의 경영이념인 사업보국은 기업을 통하여 국가에, 더 나아가 인류에 공헌하고 봉사한다는 의미이다 이병철 회장 은 “기업이 이익증대 및 생산증진을 꾀하는 한편 국력을 배양하여 나라에 보답하자는 것이다 그러므로 삼성은 국민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사업을 일으키고 발전시키는 것 을 사명으로 삼고 이를 실천해왔다 전 생애를 통한 이병철의 기업 활동에서 배우고 Dương Thị Liễu (chủ biên) (2011), “Giáo trình Văn hóa kinh doanh”, NXB Đại học Kinh tế Quốc dân, tr.173 Nguyễn Viết Lộc (2011), “Đặc trưng văn hóa doanh nhân Việt Nam”, Tạp chí Quản lý nhà nước, số 186, Hà Nội Dẫn lại từ Lê Thị Việt Hà (2020) 이병철 회장의 호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기업의 존립기반은 국가이며, 따라서 기업은 국가와 사회 발전 에 공헌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기업가의 마인드와 태도는 국제 협력, 교류 및 통 합에도 반영된다 이는 삼성그룹의 2세대 기업가인 이건희 회장에게서 가장 잘 드러 난다 이건희 회장은 국제시장의 동향을 파악하여 삼성의 제조업을 반도체, LCD(액정 화면), 휴대폰 등으로 확대했다 따라서 삼성은 과일과 건어물을 수출하는 소규모 기 업에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삼성그룹으로 발전해왔다 취임사에서 이건희 회장은 “미래 지향적이고 도전적인 경영을 통해 1990년대까지는 삼성을 세계적인 초일류 기업으로 성장시킬 것입니다.”라고 선언했다 그리고 이건희 회장의 생각에 한국은 부가가치가 높은 첨단 하이테크산업으로 진출해야 한다는 확신을 가지고 있었고, 또 “무엇보다도 반도체라는 이름에 끌렸다”고 한다7 이건희의 리더십으로 삼성은 일본 브랜드를 이겼 고 반도체, LCD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 세계 1위 기업이 되었다 또한, 기업가의 마인 드와 태도는 법률 준수 및 부패 척결에도 반영된다 그러나 삼성의 기업가 세대는 이 러한 측면을 보여주지 않았습니다 이들은 모두 법적 스캔들, 특히 이건희 회장의 부 패, 뇌물, 탈세 스캔들이 대표적 사례였다 1995년 12월 5일 검찰은 노태우 전 대통령 에게 9회에 걸쳐 250억원의 뇌물을 공여한 혐의로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을 불구속 기 소하였다 2008년 4월 22일에 차명계좌와 1000억원대의 세금포탈 혐의가 적발되면서 이건희는 경영쇄신안을 내놓고 모든 직책을 내놓고 전격 퇴진하였다 7월 16일 양도소 득세 456억원에 대한 조세포탈 혐의로 징역 3년과 집행유예 5년, 벌금 1100억원을 선 고받았다 이는 국가에 엄청난 공헌을 세운 생각으로 한국 정부의 비호를 받는 데서 비롯되어서 법률 경시 심리가 발생했다 둘째, “덕”은 도덕 자질이다 도덕적 자질은 위신을 지킴, 근면, 검약과 같은 국 가적 가치와 일치하는 기업가의 자질이다 이병철 회장은 사업이란 단기적인 것이 아 니고 장기적인 것이라고 믿었다 따라서 사업에는 무엇보다 신용이 제일이라고 밝혔다 신용을 얻는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지만 신용을 계속 유지한다는 것을 더욱 어 렵고 또 중요한 일이다 이병철 회장은 신용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신용이란 기업에 대 한 국민의 신뢰라고 보았다 그리하여 기업의 이익을 위해 국민의 신뢰에 어긋나는 일 을 해서는 안 되며 사업에서 공존공영은 늘 강조해 왔다 박재용(2009), “삼성그룹 이병철 창업회장의 기업가 정신과 기업경영”, 국제경영 연구, 15집 김인영 (2016), “삼성을 세계적 기업으로 만든 이건희: 전자, 반도체, 스마트폰으로 세계를 매혹 하다”, 한국의 기업가, p.16-64, 자유기업원 https://ko.wikipedia.org/wiki/이건희 박재용(2009), “삼성그룹 이병철 창업회장의 기업가 정신과 기업경영”, 국제경영 연구, 15집 마지막으로 “덕”은 사회책임이다 사회적 책임은 공동사회를 위한 자원봉사 활 동, 환경 보호, 직원 복지 보장, 그리고 많은 일자리 창출에 반영된다 삼성그룹은 봉 사활동을 통해 사회에 많은 공헌을 해왔습니다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은 단순히 사업 을 키우는 데서 그치지 않고 사회공헌활동 역시 기업에 주어진 또 다른 사명으로 여 긴다 예를 들어 이건희 회장은 1989년 102억 원의 사재를 출연해 “삼성복지재단”을 만들면서부터 삼성의 사회공헌 활동에 참가했다 1994년에는 이건희 회장의 지시로 사 회공헌활동을 전담하는 조직인 '삼성사회봉사단'이 출범했다 “삼성사회봉사단”은 기업 으로서 세계에서 유일하게 첨단장비를 갖춘 긴급재난 구조대를 조직해 국경과 지역을 초월하며 구호활동을 전개했다 이뿐 아니라 삼성은 재계에서 처음으로 1989년 당시 “달동네”였던 서울 송파구 마천동 ‘천마 어린이집’ 건립을 시작으로 전국에 어린이집 57곳을 세우기도 했다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이건희 회장의 철학이 지금까지 지속적 으로 이루어진다 이재용 삼성그룹 회장은 기업의 사회적책임(CSR) 비전을 재정립하고 역량과 자원을 집중하고 있다 고용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소프트웨어(SW) 교육을 실 시하는 “삼성 청년 소프트웨어 아카데미”(SSAFY)와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사내외 벤처 육성 프로그램인 “C랩 인사이드”와 “C랩 아웃사이드” 통한 스타트업 지원 등이 대표적 사례다 10 또한 “사람이 전부다”라는 인재 제일 철학을 바탕으로 삼성 그룹 은 직원의 복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많다 예를 들면 삼성의 직원들의 출퇴근을 위해 운영하고 있는 셔틀버스를 제공한다 의류 복지에 관하여 삼성 직원들이 사내병원이 있는 삼성계열사는 무료로 병원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의료비 제출 시 100% 실비 지원을 하는 복지도 있다 11 그리하여 이러한 복지제도는 직원들이 회사와 긴밀한 관 계를 만들게 되었다 그리고 삼성은 많은 계열사를 통해 한국에서만 매년 9만~10만 일자리를 창출한다12 따라서 국민에게 근무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고 국민의 삶을 개 선하는 의미가 있다 2.4 한국 기업가문화의 “덕” 특징에 대한 평가 종합하면 “덕(德)”라는 특징은 한국 사업가문화의 변함없는 특징이다 삼성그룹의 사례를 보면 1세대 기업가부터 현재인 3세대 기업가까지 “덕” 특징이 지속적으로 계 승하여 발전하고 있는 것으로 알게 된다 이 특징은 대충 한국인 사업가의 좋은 특징 10 경계영(2020), “[이건희 별세]사회공헌도 기업의 사명…봉사단 조직과 교육에 힘써”, Edaily,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758086625936528&mediaCodeNo=257 11 삼성전자 DS, https://www.samsung-dsrecruit.com/benefits/index.php 12 대한민국 일자리 상황판, https://dashboard.jobs.go.kr/index/detail?pg_id=PDCT060101&data2=DCT060101&data3=DCT060 102&ct_type=run 이며 다른 국가의 기업가, 특히 베트남 기업가가 이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자신의 기 업에 적용해야 합니다 그러나 법률 규칙 준수 체면에 대해 한국 사업가는 법률 규칙 준수의 인식을 바꾸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III 결론 역시 한국 기업가 문화는 한국 기업문화를 만들 뿐만 아니라 한국 기업가의 성 공에 크게 기여한다 한국 기업가들은 기업가 문화의 활용을 중시하여 기업의 발전을 촉진함으로써 기업은 물론 기업가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국가발전에도 기여합 니다 현재 한국 기업들은 새로운 방향으로 지향하고 있으나 중요한 점은 어떤 분야나 방향에 활동해도 전통적인 “덕”의 역할과 특징을 잘 지겨야 한다고 생각한다 참고 문헌 베트남어 자료: - Dương Thị Liễu (chủ biên) (2011), Giáo trình Văn hóa kinh doanh, tr.173, NXB Đại học Kinh tế Quốc dân, Hà Nội, Việt Nam - Lê Thị Việt Hà (2020), “Văn hóa doanh nhân Hàn Quốc kinh nghiệm Việt Nam”, NXB Đại học Quốc gia Hà Nội, Hà Nội, Việt Nam - Nguyễn Viết Lộc (2011), “Đặc trưng văn hóa doanh nhân Việt Nam”, Tạp chí Quản lý nhà nước, số 186, Hà Nội, Việt Nam 한국어 자료: - 박재용(2009), “삼성그룹 이병철 창업회장의 기업가 정신과 기업경영”, 국제경 영 연구, 15집 - 김인영 (2016), “삼성을 세계적 기업으로 만든 이건희: 전자, 반도체, 스마트폰 으로 세계를 매혹하다”, 한국의 기업가, p.16-64, 자유기업원 - 경계영(2020), “[이건희 별세]사회공헌도 기업의 사명…봉사단 조직과 교육에 힘써”, Edaily,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758086625936528&mediaCode No=257 - 삼성전자 DS, https://www.samsung-dsrecruit.com/benefits/index.php - 대한민국 일자리 상황판, https://dashboard.jobs.go.kr/index/detail?pg_id=PDCT060101&data2=DCT060 101&data3=DCT060102&ct_type=run - https://ko.wikipedia.org/wiki/이건희 ... (2011), Giáo trình Văn hóa kinh doanh, tr.173, NXB Đại học Kinh tế Quốc dân, Hà Nội, Việt Nam - Lê Thị Việt Hà (2020), ? ?Văn hóa doanh nhân Hàn Quốc kinh nghiệm Việt Nam”, NXB Đại học Quốc gia Hà Nội,... Dương Thị Liễu (chủ biên) (2011), “Giáo trình Văn hóa kinh doanh? ??, NXB Đại học Kinh tế Quốc dân, tr.173 Nguyễn Viết Lộc (2011), “Đặc trưng văn hóa doanh nhân Việt Nam”, Tạp chí Quản lý nhà nước,... 특성입니다 한국 기업문화의 특징에 대한 많은 선행 연구가 있었으며 각 연구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Le Thi Viet Ha(2020)의 ? ?Văn hóa doanh nhân Hàn Quốc kinh nghiệm Việt Nam”라는 책에서 선행연구의 한국형 리더십과 기업가정신을 바탕으로 “덕 (德)-지(知)-이(利)-체(體)-용(勇)”의

Ngày đăng: 11/12/2021, 19:24

Tài liệu cùng người dùng

  • Đang cập nhật ...

Tài liệu liên qu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