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를 활용한 영어 더빙프로젝트 수업 사례 연구 및 효과

15 0 0
영화를 활용한 영어 더빙프로젝트 수업 사례 연구 및 효과

Đang tải... (xem toàn văn)

Tài liệu hạn chế xem trước, để xem đầy đủ mời bạn chọn Tải xuống

Thông tin tài liệu

Kinh Doanh - Tiếp Thị - Kinh tế - Quản lý - Quản trị kinh doanh Journal of English Teaching through Movies and Media, Vol. 23, No. 3. (2022) 1 Journal of English Teaching through Movies and Media Vol. 23, No. 3, (August 31, 2022), pp. 1-15. doi: https:doi.org10.16875stem.2022.23.3.1 ISSN 2765-7078 (Online) https:www.ejournal-stem.org http:journal.stemedia.co.kr 영화를 활용한 영어 더빙프로젝트 수업 사례 연구 및 효과 A Case Study of an English Dubbing Class Utilizing Movies 박 부 남1 Park, Punahm1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project-based learning utilizing movies and English-English dubbing in a real time online class. The English dubbing (Intra-lingual dubbing, English-English) class was designed to develop language ability and communicative interactions over a 15-week semester during the pandemic. Forty-three students from multiple disciplines participated in the English dubbing class by doing a variety of communicative activities through online classes. To analyze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ir language improvement and communicative interactional activities, this study administrated a survey using Google forms and interviews using Zoom at the end of the semest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were highly interested in doing the English dubbing project with other interactional activities using the Zoom and Padlet platforms. They also perceived that the English dubbing projects helped to improve their listening, pronunciation, and speaking skills. The students preferred shadowing and dubbing practices among the interactional activities. This research implies that English dubbing project tasks would make a contribution to bridging student’s online and offline activities in real time online classes. Project-based dubbing and video creation tasks can be effective in motivating EFL learning and can be applied successfully with language learners in many contexts. Keywords: English dubbing class, project-based learning, movies, online class, shadowing Applicable levels: secondary, tertiary 이 논문은 2022학년도 서경대학교 교내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졌음 1 교신저자, 조교수, 서경대학교 인문사회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01234, 서울특별시 성북구 서경로 124 Corresponding author, Assistant professor, Division of Global Business Languages, Seokyeong University, 124 Seokyeong- ro, Seongbuk-gu, Seoul, 02713, Republic of Korea (E-mail: punahm17skuniv.ac.kr) Received: July 15, 2022 Revised: August 15, 2022 Accepted: August 24, 2022 Copyright: 2022 The Society for Teaching English through Media (STEM)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2022 The Society for Teaching English Through Media (STEM) Park, Punahm 2 I. 서론 코로나19가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가속화된 온라인 수업의 개발은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피드백을 통해 계속 발전해 오고 있다. 장기화된 팬데믹으로 인해 온라인 수업이 주로 행해지면서 학생들의 수동적인 학습 참여는 학습의 동기를 저하하는 요인이 된다고 한다(Choi Ji, 2020). Jung(2020)은 온라인 실시간 수업이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진행되면서 교수와 학생 간의 소통은 어느 정도 가능해졌지만, 학생들 간의 적극적인 상호작용과 참여 활동의 부재로 인해 온라인 수업에 대한 불만이 여전히 제기되고 있다고 한다. 지속 가능한 교육의 대안으로 실시된 온라인 수업은 기존의 교실에서 경험할 수 있었던 학습자-교수학생-학생 간의 라포르(rapport)와 상호작용이 가능했던 질적인 교육 방법을 찾고자 여러 방면으로 연구되고 있다. 확산된 온라인 교육은 코로나19의 상황을 고려하며 온오프라인이 연결되는 블렌디드(blended) 수업으로 확대되어 교육의 질을 보장하고자 노력하고 있고 많은 교육자들은 학생들을 적극적인 참여자로 이끌 수 있는 학습 활동의 개발 필요성을 요구하고 있다(Kim, 2022; Seok, 2021). 외국어 교육에서 영화는 다양한 사회와 문화를 바라볼 수 있는 매체로 사용되고 있다(Oh, 2000; Seo, 2017). 또한 글로벌 사회에서 국제적 의사소통의 도구인 영어 능력을 향상하기위해 영화 콘텐츠를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Im, 2021; Kang, 2006; Kim Lee, 2020; Lee, 2000; Oh, 2000; Seo, 2017). 많은 연구자들은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교실과 온라인 수업에서 영화를 활용해 학습자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증진할 수 있다고 한다(Kim, 2016; Park, 2017). 특히 영화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와 몰입을 가능하게 하면서 말하기와 듣기 기능을 향상하는데 효과적인 방안으로 섀도잉(shadowing)과 더빙(dubbing) 학습법을 제안하고 있다(Burston, 2005; Jin, 2022; Seo, 2020). 섀도잉은 영화 주인공의 대사를 그림자처럼 따라하며 원어민의 발음, 억양 등을 익히는 방법으로 모든 수준의 학습자가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Jin, 2022; Lee, Lee, Jang, 2010). 영화 주인공의 대사를 다른 목소리(언어)로 입히는 방식인 더빙은 언어 간(inter-lingual, L1-L2)과 언어 내 더빙(intra-lingual dubbing, L2-L2)으로 나뉘어진다(Burston, 2005). ESLEFL 언어 학습 환경에서 주로 언어 내(English-English) 더빙 방법을 사용 해 말하기학습에 주로 사용한다(Kang, 2006). 언어 내 더빙 학습은 영화 주인공의 원래 목소리에 다른(학습자) 목소리를 입히는 것으로 학습자는 적극적으로 내용을 듣고 반복하여 최대한 원어민처럼 발화하려는 활동을 통해 학습자는 언어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고 한다(Burston, 2005; Seo, 2020). Burston(2005)에 따르면, 언어 내 더빙의 장점은 특별한 기술이 없이도 언어 수준과 관계없이 활용할 수 있고, 수업 안과 밖 어디에서도 자유롭게 사용하며, 반복을 통하여 학습자 자신의 발화를 원래 음성과 비교하는 모니터링이 가능한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하다고 한다. Seo(2020)는 영화를 활용한 언어 내 더빙 수업을 제안해 대학생들에게 영화 장면 더빙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는 학습을 실시해 학습자의 학습 동기에 효과적이었다고 주장한다. 언어 내(English- English) 더빙 연습을 주도적으로 하면서 학생들은 말하기에 대한 부담감을 줄일 수 있었고 말하기에 자신감을 가졌다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섀도잉과 더빙 학습은 학습자 개인이 직접 말하기 연습을 주도적으로 함으로써 말하기와 듣기 향상에 긍정적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개인 주도적인 학습이 학생들 간의 의사소통이 가능한 상호작용의 단계에 이르지 못한다는 약점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학습자들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적극적인 상호 활동을 진작하는 방법으로 영화를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을 제안한 연구들이 있다(Miller Hafner, 2014; Spring, 2020). Spring(2020)은 짧은 영상 제작 프로젝트를 활용해 학생들이 직접 대사를 만들어 영상을 제작하는 활동이 학생들의 상호 의사소통을 증진하여 디지털시대에 영어 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제안하였다. 그의 연구에서 학습자들이 영상 제작이라는 프로젝트를 하기위해 적극적으로 의사소통을 함으로써 말하기 능력이 향상한다는 연구 결과를 보여 주었다. 팬데믹이 지속되면서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수업에서 학습자들이 온라인 강의를 듣고 개별적으로 과제를 하면서 수동적인 참여자로 남아있을 뿐 학습자 간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기회는 많지 않다고 한다(Jung, 2020). 본 연구에서는 영화를 활용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의 기회를 증대해 언어 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섀도잉과 더빙을 활용한 영상 프로젝트를 제안해 보고자 한다. 직접 대면하지 못하는 학습자들이 온라인 상에서 영화 장면의 원어민 대사를 반복 연습하는 더빙 학습으로 프로젝트를 하면서 학습자들의 상호작용을 증진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Spring(2020)이 주장하는 대사 기반 역할극 비디오 영상 만들기 프로젝트가 학습자들의 상호작용을 활발하게 이끌어 효과적인 언어학습이 가능하다는 점을 근거로 본 연구에서 온라인 상에서 학생들 간의 적극적 상호작용이 가능한 더빙 프로젝트 활동을 시행하였다. 영화활용 언어 내(English-English) 더빙 프로젝트 수업을 경험한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인식과 태도 및 그들의 반응을 분석하기위해 다음의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Journal of English Teaching through Movies and Media, Vol. 23, No. 3. (2022) A Case Study of an English Dubbing Class Utilizing Movies 3 1. 영화활용 영어 더빙 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 및 태도는 어떠한가? 2. 영화활용 영어 더빙 프로젝트를 통한 영어능력 향상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은 어떠한가? 3. 영화활용 영어 더빙 프로젝트를 통한 상호작용 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과 반응은 어떠한가? 그리고 더빙 프로젝트 학습 방법의 교육적 시사점은 무엇인가?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외국어 교육에서 영화를 활용한 수업은 영어권 국가의 문화를 학습하면서 학생들의 영어 능력을 향상하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활용되어 왔다(Abiladi, Abdeen, Lincoln, 2018; Oh, 2000; Seo, 2018). 영화의 내용을 이해하고 언어의 능력을 향상하고자 하는 언어학습 활동의 개발은 여러 방면으로 진행되어 왔다(Im, 2021; Lee, 2000; Park, 2017; Seo, 2017; Yang Jung, 2015). 특히 말하기와 듣기 기능을 향상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섀도잉과 더빙의 학습법을 시도해 왔다. 섀도잉은 영화 주인공들의 대사를 듣고 따라하는 방법으로 원어민의 자연스런 발음, 억양, 속도, 강세를 익히면서 어휘, 관용어구, 문장 등을 반복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효과적인 영어 학습법이라고 한다(Jin, 2022; Lee, Lee, Jang, 2010; Suh, 2019). Suh(2019)는 섀도잉이 영화 장면의 대사를 듣고 정확히 따라하는 수동적인 방법이기 보다는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수반하는 방법으로 영화 장면 주인공의 말투, 발성, 억양 어조 등을 파악하는 심리적이고 인지적인 활동이라고 한다. 이것은 대사의 모방을 통해 학습자는 주인공의 발음과 자신의 발음을 비교하고 교정하는 학습을 하기 때문이다. Martinsen, Montgomery, 그리고 Willardson(2017)은 비디오를 중심으로 한 섀도잉이 프랑스어를 배우는 학생들의 발음 향상에 상당히 효과가 있다는 연구를 보여주었다. 애플리케이션의 발전으로 인하여 모바일기술을 이용한 섀도잉 학습에서도 언어 능력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고 한다(Klímová, 2018). Jin(2022)은 영화 섀도잉을 활용하여 대학생들의 수준별(초급, 중급, 고급) 효과를 분석하였는데 세 그룹에서 모두 말하기 기능 향상에 긍정적 효과를 볼 수 있었다고 한다. 특히, 초급과 중급집단에서는 유창성과 발음에 상당히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하였다. Kim(2018)은 대학생들에게 영화 활용 섀도잉 학습을 4주 실시하여 듣기보다는 말하기능력 향상에 더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고 학습자들이 말하기에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말하기의 기능을 향상하고자 하는 다른 접근으로 더빙 학습 방법도 최근에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더빙은 외국에서 영화 상영 시 원래 영화 주인공들의 목소리를 현지 국가의 음성언어로 녹음하는 방식으로 언어 간 더빙이라고 한다(Kang, 2006). Burston (2005)는 언어 간 더빙과 언어 내 더빙 방법을 ESLEFL 환경에서 언어학습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학습용으로 첫째, 원래 영상에 학습자의 목소리를 입히기, 둘째, 시나리오 제작으로 원래 영상의 소리를 없애고 대본을 만들어 상황에 맞게 내용을 각색하여 언어 학습 시 읽기와 문법, 어휘 학습을 위한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한다. Choi(2013)는 영화나 드라마 대사를 녹음하는 단순한 방식-영화 장면에 있는 소리를 줄이고 학습자 자신의 목소리로 읽으며 녹음하는 것 역시 언어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주장한다. Seo(2020)는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내 더빙은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듣고 반복하면서 원어민과 같은 속도로 발화하도록 노력하는 과정에서 언어학습의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는 학습자의 듣기, 단어 지식, 발음, 억양 및 소리에 대한 인식을 강화하면서 말하기를 향상하는데 유용한 방법이라고 주장한다(Celce-Murcia, Brinton, Goodwin, 2010; Dincer, 2017; Henrichsen, 2015; Li, 2017). 디지털 애플리케이션의 발달과 함께 모바일 더빙 앱을 활용한 언어 내 더빙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최근에 더욱 더 손쉽게 언어 학습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ClipFair, Movie Maker, 2DUB, English Fun Dubbing, English Speaking Show). 위의 애플리케이션들은 영화에서 잘 선정된 비디오 클립 선정 및 장면에 대한 설명 후 학생들의 듣기 활동과 역할 연습(리허설한 후) 더빙과목소리 입히기(voice over), 개인별 과제 활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더빙 활동은 모든 수준의 학습자에게 재미있는 활동이 되었으며 교실과 교실 밖 언어 학습을 이끌어 주는 역할을 했다고 주장한다(Henrichsen, 2015). Chiu(2012)는 언어 내 더빙 활동이 영어를 배우는 대만 학생의 말하기 능력을 향상하게 하였다고 주장하였다. Seo(2020)는 교양수업에서 대학생이 더빙 앱을 활용한 말하기 학습을 진행해 언어 학습에 효과가 있었다고 보여주었다. 이 연구를 통해 Seo(2020)는 더빙 활동과 애플리케이션 사용이 대학생들에게 말하기에 대한 부담감을 덜어주면서 효과적으로 영어 학습에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활동이라고 주장한다. 언어 내 더빙 연습이 학습자의 영어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효과를 주며 자기 주도적 학습이 되었다는 것과 앱을 활용해 학생들이 영어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하였다. 이런 연유로 Seo(2020)는 학습자가 재미있게 자발적인 학습을 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영화를 활용한 더빙을 제안하고 있다. 2022 The Society for Teaching English Through Media (STEM) Park, Punahm 4 영화 주인공의 대사를 모방하고 따라하면서 또는 영화를 무성으로 시청하면서 학습자들이 목소리 연기를 직접 해보는 역할극을 활용한 연기는 학습자들을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하게 한다는 주장도 있다(Lee, 2012; Sung, 2008). Lee(2012)는 영화 속 등장인물에 대한 성격 분석, 역할 활동을 통한 목소리연기 기법의 활용은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주장한다. 목소리연기를 하기위해서는 섀도잉더빙 방법도 도입하여 학습자들이 문장과 단어를 여러 번 반복해서 연습한 후 학습자 자신의 목소리에 감정을 넣어 연기를 하게 된다. Lee(2012)는 학습자가 목소리 연기를 하는 과정에서 원어민의 발화에 좀 더 관심을 가지게 되고 대화의 문맥을 의식적으로 파악하려 노력하는 과정에서 의사소통에 필요한 실생활 표현을 습득하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Lee(2012)는 더빙을 통한 보이스 액팅에 대한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소리의 리듬과 감정을 면밀하게 듣기, 둘째, 학습자는 영화 장면의 사회 문화적 상황과 배경을 판단하기, 셋째, 영화장면만 보고 학습자의 목소리만을 사용하여 대사를 연기한다. 이 연기 과정에서 학생들은 영어 단어와 표현들을 적절하게 사용한다. 역할극(Role-playing)과는 달리 장면 뒤에 자신을 숨김으로써 목소리로 연기를 할 수 있어서 학생들의 발화에 대한 자신감이 더 생겨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Lee(2012)의 연구에서 섀도잉과 더빙 및 보이스 액팅 기법을 영어수준이 다른 두 집단에게 시행해 학생들이 발음과 억양에 변화를 보이면서 말하기에 자신감이 높아졌다고 보고하였다. Kim(2018)은 초급 수준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영화 사운드를 무음으로 한 상황에서 학습자가 이미지를 보면서 내용을 유추하고 습득한 어휘를 활용하는 과정이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창의적이고 비판적 사고력의 신장에도 효과가 있었으며 미디어 문식력(media literacy)의 개발이라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영화의 대사는 영상으로 보이는 장면을 학습자가 내용을 이해하고 영화 표현을 실제적으로 연습해 볼 수 있는 장점(Im Ahn, 2002)을 넘어 영화 대사를 직접 연기하거나 영화의 한 장면을 찍게 할 경우 학습자들은 적극적인 상호 의사소통을 하면서 상호작용을 증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Yoon, Kim, 그리고 Lee(2021)의 연구는 대학생들에게 영화 활용 프로젝트를 제시하여 학생들의 말하기 기능에 효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언어 내 더빙 활동이 개인학습으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상호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학습활동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학습자에게 흥미와 몰입감을 제공하는 영화 활용 영어교육이 학습자 간의 협력 활동을 통해 학습자 중심의 상호작용 활동을 활발히 전개하기도 하였다. Abiladi 외 2인(2018)은 영화를 활용해 학습자 관점에서 학습자의 활동과 참여를 강조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 Choi와 Lee(2016)은 인성 교육과 외국어 역량 강화를 융합한 융복합 교양 수업의 일환으로 연극영화로 배우는 영어수업을 진행하였다. 이 수업을 통해 학습자는 구어체 영어를 자연스럽게 구사하기 위해 작품 분석과 이해를 통해 영화에 대한 지식을 넓히고 조별 공연을 통해 협동, 배려, 책임감 등의 인성 함양에 긍정적 효과를 볼 수 있었다고 하였다. 그들의 연구는 영화를 활용해 언어 학습 중심의 영어 수업을 넘어서 인재 양성이라는 목표에 부합한 학생들 간의 협력을 증진할 수 있는 영어 수업이 가능하였음을 보여주었다. 주인공의 캐릭터 분석을 통한 연기프로젝트는 교양 융복합 수업으로 학생들의 다양성을 고려해 학습자 중심의 참여가 활발한 수업으로 활용될 것을 주장하였다(Choi Lee, 2018). 학생들의 상호 작용을 진작하고자 영화를 활용해 영상 제작 (video-creation)을 실시한 Spring(2020)의 연구는 학습자가 직접 대사를 만들어 역할 놀이 장면을 비디오로 만드는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영어 말하기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고 주장한다. 특히 역할 놀이 비디오 제작 과정에서 학습자의 말하기 향상에 팀별 협업과 장면에 대한 대사 및 표현에 대한 퀴즈 점수가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 향상에 상당한 관련이 있다고 그는 주장한다. 게다가 Spring(2020)은 영화 활용 영상 제작 프로젝트가 학습자들 간의 상호의사소통을 적극적으로 이끌어 자기 주도적 학습자로 만드는데 기여한 바가 크다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영화활용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섀도잉더빙 학습 방법과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더빙 영상제작 프로젝트를 통합한 학습 방법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더빙 영상제작 프로젝트 수업을 경험한 학생들의 인식이 어떠 한가를 분석하여 대학 교양 수업에 영화를 활용한 더빙 프로젝트 학습 방법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보고자 한다. I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영어 더빙 프로젝트 수업에 참여한 학생은 43명으로, 여자 30명(69.8), 남자 13명(30.2)이 참여하였다. 글로벌 융합역량 교양 선택과목인 영어 더빙 수업은 다양한 단과 대학 학생들-예술대학 20명(46.51), Journal of English Teaching through Movies and Media, Vol. 23, No. 3. (2022) A Case Study of an English Dubbing Class Utilizing Movies 5 인문대학 8명(18.6), 이공대학 9명(20.93), 사회대학 6명(13.96)이 수강하였다. 1학년 8명(18.6), 2학년 18명(41.86) 3학년 11명(25.58) 그리고 4학년은 6명(13.96)으로 주로 2~3학년 예술 및 인문대학 학생들이 수업을 수강하였다. 학생들의 토익 스피킹(TOEIC Speaking)에 대한 점수대는 90-110점대로 중간(Level 4- Intermediate LowMid)정도 수준에 해당한다. 글로벌 융합 역량을 키우고 영어 능력을 향상하는 목표로 ‘더빙으로 배우는 영어’ 수업은 1주일 3시간 실시간 온라인 줌(Zoom)으로 진행되었다. 2. 수업절차 학습자의 학습에 흥미를 유발하여 영어 능력을 향상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영화를 활용한 학습자중심 영어-영어 더빙 프로젝트 수업은 2022년 3월부터 6월까지 15주 동안 온라인 수업으로 시행되었다. 영화를 활용해 학습자가 영화에서 추출된 장면과 대사를 통해 영어권의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고 의사소통 할 수 있는 영어 표현을 습득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15주 간의 학습 과정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Implementation Procedures for English-English Dubbing Course Module Week Movie (LMS) Online class (Zoom + Padlet) Outside Class-Project (Google Drive) 0~1 Orientation Project Introduction of English Dubbing Project, Syllabus (how to dub) 2 Toy Story 3 Analyze the scene and characters before dubbing (Macro- learninglistening) Dubbing Shadowing Task 3 Toy Story 3 Discuss the character’s facial expression with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Micro- listening), Role-playing Dubbing Shadowing Task 4 Toy Story 3 Meet students to give some feedback on Dubbing homework Dubbing Shadowing Task 5~6 La La Land Discuss the character’s facial expression with vocabulary (Micro- listening), Role-playing Dubbing Shadowing Task 7-8 La La Land Preparing mid-term project: Choose a scene in a group (2-3 partners) Midterm Exam: Dubbing Project 1 Dubbing Project prep. with a partner 9 About Time Analyze the scene and characters before dubbing (Macro- learning) Mid-term Dubbing Project (Submission) 10-11 About Time Discuss the character’s facial expression with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Micro- listening), Role-playing Dubbing Shadowing Task 12-13 Inside Out Analyze the scene and characters before dubbing (Macro- learning) Dubbing Shadowing Task 14 Inside Out Bring a movie scene for the final Project Dubbing Shadowing Task 15 Final Project Final: Dubbing Project 2 (Creating a voice acting video) Self-evaluation Survey (Interview) Park(2017)은 학습자가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영화 속의 인물들이 등장할 때 학생들이 더욱 영화에 몰입을 하고 학습할 수 있는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고 주장한다. 본 수업에 예술대와 인문대 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영화 4개를 선정하였다. 예술가가 되기를 희망하는 젊은 연인의 꿈을 노래한 영화(La La Land, Chazelle, 2016), 대학생이 되면서 장난감과 헤어지는 우정이야기(Toy Story 3, Unkrich, 2009), 시간 여행을 통해 인생에 대한 교훈과 사랑을 이야기하는 가족 이야기(About Time, Curtis, 2013), 사춘기를 경험하는 여자주인공의 감정극복과 감정변화에 대한 영화(Inside Out, Docter, 2018)이다. 3주 마다 한 영화에서 4-5 장면을 발췌해 총 3-4분짜리 20장면을 학습용 교재로 사용하였다. 교수가 학생들의 언어 수준을 고려하여 영어의 발음, 억양과 어휘를 학습할 수 있도록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영화 스크립트를 재편집하여 학습 활동용으로 제작하였다. 온라인 실시간 수업에서는 Zoom,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그리고 패들렛(Padlet) 플랫폼을 사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학생들의 언어수준과 학습활동의 목적에 맞는 장면을 선별해 교재 스크립트를 영어 문장과 단어 받아쓰기(dictation)용으로 다시 제작하여 매 수업 전에 패들렛에 탑재하였다. 패들렛은 학습자료와 학생들의 결과물을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는 사용이 용이한 플랫폼이다(Kim, 2022). 거시적 듣기(Macro-listening) 활동에서 영화 장면 대사에 대한 내용과 상황에 따른 언어 표현과 의미를 논의하게 한 후 장면에 관련된 문화적언어적 요소를 학습한다. 장면에 대한 대사는 단순히 대사를 외우기보다는 2022 The Society for Teaching English Through Media (STEM) Park, Punahm 6 언어표현의 상황에 따른 다양한 표현의 의미를 쉽게 이해하는 맥락과 배경에 대한 문화적 의미와 해석을 중시하며 영화 속의 상황과 영화 전체의 주제와 내용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전달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전개하였다. Figure 1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미시적 듣기(micro-listening)에서 영화 장면에서 주인공을 분석할 수 있는 대화에 대한 어휘, 발음, 문장 학습에 중점을 두고 듣기와 받아쓰기 활동을 그룹별로 한 후 각 장면이 주는 영화적인 메시지를 그룹 별로 소그룹에서 논의하도록 한다. 역할놀이(Role-playing) 활동에서는 영화 장면의 주인공이 되어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하는 주인공의 역할 파악 말하기 활동을 실시한다. 수업 밖(Outside class)에서는 온라인 수업시간에 공부한 영화 장면을 선택해 학생이 직접 섀도잉과 더빙하여 녹음한 파일을 구글드라이브에 매주 업로드 한다. FIGURE 1 In-Class and Offline-Class Activities Micro-listening-dictation listening (Group activity) Role-playing (Pair work and recording) Voice acting project (Group activity) 중간고사와 기말과제인 더빙과 목소리연기 프로젝트(dubbing voice acting project)는 연기가 섞인 더빙 영상 프로젝트이다. 중간고사용 더빙 프로젝트는 수업 시간에 선정한 영화 중 다루어지지 않은 장면을 골라 그 장면의 내용과 주인공을 분석한 후 파트너와 역할을 나누어 목소리와 감정 연기를 하는 것이다. 기말 프로젝트는 중간 프로젝트와 달리 2-3명이 그룹이 되어 좋아하는 영화를 선택하여 장면 내용과 캐릭터를 분석해 직접 혹은 줌에서 만나 목소리연기를 한 후 편집한 영상을 제출한다. 프로젝트를 만드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영화 장면을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하고 주인공의 목소리와 표정을 보면서 학생 자신이 이해한 주인공의 대사를 발화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장면에 대한 비판적 해석이 요구된다. 줌에서 만나 두 파트너가 더빙 연기하는 장면을 녹음하거나, 오프라인으로 직접 만나 더빙 연기를 하여 녹화할 수 있는 선택권이 주어진다. 영상 편집이나 녹음 및 더빙은 스마트폰의 녹화기능을 사용하도록 권장하였다. 프로젝트 결과물에 대한 평가기준은 동기화(synchronization), 억양(intonation), 발음(pronunciation), 전체적인 이해(overall intelligibility), 목소리 연기(voicing acting)를 제시해 점수화 하였다. 3. 연구 도구 영화를 활용한 영어 더빙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 및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학기말 15주차에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Seok(2021)의 설문지를 기초로 하여 본 연구의 상황에 맞게 수정하여 작성하였다. 설문지는 수업에 대한 평가 및 만족에 관한 내용(8문항), 상호작용 활동에 대한 태도(5문항), 그리고 언어학습 향상도에 대한 인식(5문항)으로 이루어졌다. 각 문항에 대해서는 5점 척도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지에 대한 신뢰도 계수는 Table 2와 같다. 설문 문항의 신뢰도 분석을 통해 문항 간 내적 합치도를 살펴보았다. 수업에 대한 평가 및 만족 0.914, 상호작용 활동에 대한 태도인식은 0.888, 그리고 언어 향상도에 대한 인식은 0.720이다. 언어 향상도에 대한 인식의 신뢰도 수치가 다른 항목 보다 낮은 것은 아마도 학생들이 자신의 언어 능력 향상에 대한 인식 문항에 스스로 신뢰성 있게 확신할 수 있는 응답을 줄 수 없어서 그런 것으로 생각된다. Journal of English Teaching through Movies and Media, Vol. 23, No. 3. (2022) A Case Study of an English Dubbing Class Utilizing Movies 7 TABLE 2 Cronbach’s Alpha Coefficient on Learning Attitudes Items of questions Cronbach’s alpha Class Evaluation Satisfaction 8 0.914 Interactional Activities 5 0.888 Perception of Language Improvement 5 0.720 개방형 질문에는 수업에서 좋았던 점과 불만 사항에 대한 의견을 기재하도록 하고 프로젝트 활동에 대한 개선 사항을 적도록 하였다. 심층연구를 위해 수업에 참여한 학생 중 5명을 줌으로 초대해 면담하였다. 면담 내용을 연구자료 용도로만 사용하겠다는 동의를 받은 후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3명의 학생과 성실하게 참여하지 않은 2명의 학생을 30분씩 면담하였다. 반 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해 면담 자료는 1) 영화를 활용한 더빙 영어 학습 방법에 대한 의견과 수업에 대한 개선 점, 2) 목소리 연기(voice acting) 과제나 영상비디오 프로젝트를 하면서 힘들었던 점 혹은 좋았던 점, 3) 더빙 영어 수업에 대한 의견-좋았던 점좋지 않았던 점- 으로 구성하였다. 4. 자료 분석 방법 통계 프로그램 SAS 9.4를 사용하여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문항에 대한 빈도수와 를 분석하여 평균으로 제시하였다. 설문에 대한 단순 검증 이외에도 효과가 있었다면 어떤 변인들이 작동했는가를 알기 위해 학생들에게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조교가 학생 5명과 면담을 한 후 면담 내용을 전사하였고 영어교육 관련 연구자 2명이 자주 언급된 단어, 문구, 및 내용을 분류한 다음 4-5개의 개념으로 범주화 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면담 내용은 직접 인용할 경우 면담자의 이름을 익명으로 기재하였다. 설문은 구글 설문지를 활용하여 만들고 학생들에게 이메일로 전달하여 응답하도록 하였다. 54명이 수강하였으나 수업을 듣고 마지막 설문에 응답한 81인 43명을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1차에 70 정도 응답하였고 설문하지 않은 학생들에게 2차로 연락해 81의 설문 응답률을 확보하였다. IV. 연구 결과 1. 수업에 대한 만족도 및 학습태도 영화를 활용한 영어 더빙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와 평가는 Table 3과 같다. 전반적으로 학생들은 더빙 수업에 대한 평가에서 평균 4.0 이상으로 응답하여 상당히 만족한 것으로 보인다. TABLE 3 Perceptions of the Dubbing Project Class and Learning Attitudes Item M SD I was more interested in learning English through English dubbing class. 4.53 0.74 The English Dubbing class provided the understanding of English’s speaking country’s social and culture. 4.33 0.89 It was helpful to understand the movies with the explanation of movie’s background knowledge and characters. 4.58 0.63 The discussion activity on movies was helpful to learn English. 4.21 1.01 Creating of English Dubbing video was helpful to learn English. 4.35 0.90 The dubbing class made me self-direct my English learning. 4.28 0.83 I became confident to speak English through this dubbing class. 4.47 0.70 I was satisfied with the modified movie scripts as teaching materials. 4.70 0.46 The use of Padlet platform was helpful to learn English and movies. 4.51 0.80 수업에서 제공한 영화 활용 영어 더빙 수업에 대해 학생들은 ‘영어 학습에 흥미(M = 4.53)’가 높아졌다고 하였다. 학습자는 수업에서 거시적듣기 학습인 ‘사회문화적 배경 이해(M = 4.33)’에 관한 것과 ‘영화 주인공 (캐릭터)에 대한 분석(M = 4.58)’에 상당히 만족하였고 영화내용에 대한 ‘토론활동(M = 4.21)’이 영어 학습에 도움을 주었다고 응답하였다. ‘더빙 영상 비디오 만들기 프로젝트(M = 4.35)’가 영어 학습에 도움이 되었고, 2022 The Society for Teaching English Through Media (STEM) Park, Punahm 8 더빙 수업을 통해 ‘자발적인 영어 학습이 가능 (M = 4.28)’ 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수업용으로 편집된 영화 대사 수업 교재에 만족(M = 4.70)’ 하였고 영화 장면과 스크립트 대본이 탑재되고 ‘학생들의 학습 결과물을 볼 수 있는 패들렛 플랫폼 활용에 학생들은 만족(M = 4.51)’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패들렛의 사용은 학습자들의 생각과 학습 결과물을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습자들의 만족도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Kim(2022)의 수업에서 패들렛 연구에 대해 주장한 바처럼 학습...

Trang 1

Journal of English Teaching through Movies and Media Vol 23, No 3, (August 31, 2022), pp 1-15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project-based learning utilizing movies and English-English dubbing in a real time online class The English dubbing (Intra-lingual dubbing, English-English) class was designed to develop language ability and communicative interactions over a 15-week semester during the pandemic Forty-three students from multiple disciplines participated in the English dubbing class by doing a variety of communicative activities through online classes To analyze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ir language improvement and communicative interactional activities, this study administrated a survey using Google forms and interviews using Zoom at the end of the semest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were highly interested in doing the English dubbing project with other interactional activities using the Zoom and Padlet platforms They also perceived that the English dubbing projects helped to improve their listening, pronunciation, and speaking skills The students preferred shadowing and dubbing practices among the interactional activities This research implies that English dubbing project tasks would make a contribution to bridging student’s online and offline activities in real time online classes Project-based dubbing and video creation tasks can be effective in motivating EFL learning and can be applied successfully with language learners in many contexts

Keywords: English dubbing class, project-based learning, movies, online class, shadowing Applicable levels: secondary, tertiary

* 이 논문은 2022학년도 서경대학교 교내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졌음

1 교신저자, 조교수, 서경대학교 인문사회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01234, 서울특별시 성북구 서경로 124

Corresponding author, Assistant professor, Division of Global Business Languages, Seokyeong University, 124 Seokyeong-ro, Seongbuk-gu, Seoul, 02713, Republic of Korea (E-mail: punahm17@skuniv.ac.kr)

Received: July 15, 2022 Revised: August 15, 2022 Accepted: August 24, 2022

Copyright: © 2022 The Society for Teaching English through Media (STEM)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rang 2

방법이다(Jin, 2022; Lee, Lee, & Jang, 2010) 영화 주인공의 대사를 다른 목소리(언어)로 입히는 방식인 더빙은 언어 간(inter-lingual, L1-L2)과 언어 내 더빙(intra-lingual dubbing, L2-L2)으로 나뉘어진다(Burston, 2005)

Trang 3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최근에 더욱 더 손쉽게 언어 학습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ClipFair, Movie Maker, 2DUB, English Fun Dubbing, English Speaking Show) 위의 애플리케이션들은 영화에서 잘 선정된 비디오 클립 선정

Trang 5

Implementation Procedures for English-English Dubbing Course Module

Week (LMS) Movie (Zoom + Padlet) Online class Outside Class-Project (Google Drive) 0~1 Orientation & Project Introduction of English Dubbing & Project, Syllabus (how to dub)

2 Toy Story 3 Analyze the scene and characters before dubbing (Macro-learning/listening) Dubbing & Shadowing Task 3 Toy Story 3 Discuss the character’s facial expression with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Micro- listening), Role-playing Dubbing & Shadowing Task 4 Toy Story 3 Meet students to give some feedback on Dubbing homework Dubbing & Shadowing Task 5~6 La La Land Discuss the character’s facial expression with vocabulary (Micro-listening), Role-playing Dubbing & Shadowing Task 7-8 La La Land Preparing mid-term project: Choose a scene in a group (2-3 partners)

Midterm Exam: Dubbing Project 1

Dubbing Project prep with a partner 9 About Time Analyze the scene and characters before dubbing (Macro-learning) Project (Submission) Mid-term Dubbing 10-11 About Time Discuss the character’s facial expression with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Micro- listening), Role-playing Dubbing & Shadowing Task 12-13 Inside Out Analyze the scene and characters before dubbing (Macro-learning) Dubbing & Shadowing Task 14 Inside Out Bring a movie scene for the final Project Dubbing & Shadowing Task 15 Final Project Final: Dubbing Project 2 (Creating a voice acting video) Self-evaluation & Survey (Interview) Park(2017)은 학습자가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영화 속의 인물들이 등장할 때 학생들이 더욱 영화에 몰입을 하고 학습할 수 있는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고 주장한다 본 수업에 예술대와 인문대 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영화 4개를 선정하였다 예술가가 되기를 희망하는 젊은 연인의 꿈을 노래한 영화(La La Land, Chazelle, 2016), 대학생이 되면서 장난감과 헤어지는 우정이야기(Toy Story 3, Unkrich, 2009), 시간 여행을 통해 인생에 대한 교훈과 사랑을 이야기하는 가족 이야기(About Time, Curtis, 2013), 사춘기를 경험하는 여자주인공의 감정극복과 감정변화에 대한 영화(Inside Out, Docter, 2018)이다 3주

Trang 6

In-Class and Offline-Class Activities

Micro-listening-dictation & listening

(Group activity) (Pair work and recording) Role-playing Voice acting project (Group activity)

중간고사와 기말과제인 더빙과 목소리연기 프로젝트(dubbing &voice acting project)는 연기가 섞인 더빙 프로젝트 결과물에 대한 평가기준은 동기화(synchronization), 억양(intonation), 발음(pronunciation), 전체적인 이해(overall intelligibility), 목소리 연기(voicing acting)를 제시해 점수화 하였다

Trang 7

TABLE 2

Cronbach’s Alpha Coefficient on Learning Attitudes

Items # of questions Cronbach’s alpha Class Evaluation & Satisfaction 8 0.914

I was more interested in learning English through English dubbing class 4.53 0.74 The English Dubbing class provided the understanding of English’s speaking country’s social and

It was helpful to understand the movies with the explanation of movie’s background knowledge and

The discussion activity on movies was helpful to learn English 4.21 1.01 Creating of English Dubbing video was helpful to learn English 4.35 0.90 The dubbing class made me self-direct my English learning 4.28 0.83 I became confident to speak English through this dubbing class 4.47 0.70 I was satisfied with the modified movie scripts as teaching materials 4.70 0.46 The use of Padlet platform was helpful to learn English and movies 4.51 0.80

수업에서 제공한 영화 활용 영어 더빙 수업에 대해 학생들은 ‘영어 학습에 흥미(M = 4.53)’가 높아졌다고 하였다 학습자는 수업에서 거시적듣기 학습인 ‘사회문화적 배경 이해(M = 4.33)’에 관한 것과 ‘영화 주인공 (캐릭터)에 대한 분석(M = 4.58)’에 상당히 만족하였고 영화내용에 대한 ‘토론활동(M = 4.21)’이 영어 학습에 도움을 주었다고 응답하였다 ‘더빙 영상 비디오 만들기 프로젝트(M = 4.35)’가 영어 학습에 도움이 되었고,

Trang 13

Abiladi, W S., Abdeen, F H., & Lincoln, F (2018) Learning English through movies: Adult English language learners’ perceptions Theory and Practice in Language Studies, 8(12), 1567-1574 https://doi.org/ 10.17507/tpls.0812.01

Burston, J (2005) Video dubbing projects in the foreign language curriculum Calico Journal, 23(1), 79-92 https://doi.org/10.1558/cj.v23i1.79-92

Trang 14

Celce-Murcia, M., Brinton, D M., & Goodwin, J M (2010) Teaching pronunciation: A reference for teachers of English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s (2nd ed.)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azelle, D (Director) (2016) La La Land [Motion picture] United States: Lionsgate film

Chiu, Y H (2012) Can film dubbing projects facilitate EFL learners’ acquisition of English pronunciation?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43 (1), E24-E27 https://doi.org/10.1111/j.1467-8535.2011.01252.x Choi, J (2013) A case study of an English course using conversation memorization and DVD dubbing: Students’

confidence and satisfaction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18(1), 247-274

Choi, J M., & Lee, H S (2016) A case study of English class as liberal education, converged on literature and theatrical performances for cultivating humanities The Korean Contents Journal, 16(3), 536-545 https://doi.org/10.5392/JKCA.2016.16.03.536

Choi, Y., & Ji, N Y (2020)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learner interaction and satisfaction in non-face-to-face English lectures: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lecture type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23(4), 233-253

Curtis, R (Director) (2013) About time [Motion picture] United Kingdom: Universal Pictures

Dincer, A (2017) EFL learners’ beliefs about speaking English and being a good speaker: A metaphor analysis Univers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1), 104-112 https://doi.org/10.13189/ujer.2017.050113 Docter, P (Director) (2018) Inside out [Motion picture] United States: Walt Disney Studios

Henrichsen, L (2015) Video voiceovers for helpful, enjoyable pronunciation practice In J Levis, R Mohammed, M Qian, & Z Zhou (Eds.), Proceedings of the 6th Pronunciation in Second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Conference (pp 270-276) Ames, IA: Iowa State University

Im, B., & Ahn, H S (2002) Improving English listening comprehension by using animation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Teaching, 8(2), 197-218

Im, M J (2021) A study on the role of multiword expressions in movie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Teaching, 27(4), 97-117 https://doi.org/10.35828/etak.2021.27.4.97

Jin, S (2022) The effects of a shadowing activity using movies on Korean EFL college learners’ speaking skills and their affective attitudes Journal of English Teaching through Movies and Media, 23(1), 27-41

Kim, D K., & Lee, D (2020) Teaching English using the movie The blind side: A focus on pronunciation and culture STEM Journal, 21(3), 1-21 https://doi.org/10.16875/stem.2020.21.3.1

Kim, H J (2022) A study on the use of Padlet in non-face-to-face liberal arts English classes and university students’ responses Journal of English Teaching through Movies and Media, 23(1), 1-12 https://doi.org/10.16875/stem.2022.23.1.1

Kim, J H (2018) The effects of shadowing with English movies on Korean EFL college students’ listening and speaking achievement, and learning interest and attitud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Kim, K S (2016) A practice of teaching English through media: Teaching everyday English conversation through various movie clips in the internet lecture STEM Journal, 17(3), 1-22 https://doi.org/10.16875/stem.2016.17.3.1

Kim, S H (2018) Improving low-proficiency Korean EFL learners’ speaking skills using two different modes of movie clips: A media literacy perspective STEM Journal, 19(1), 129-151 https://doi.org/10.16875/stem.2018.19.1.129

Klímová, B (2018) Mobile phones and/or smartphones and their apps for teach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23(3), 1091-1099

Lee, E Y (2012) Improving communicative through voice-acting activ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ankook University, Seoul

Lee, J W (2000) A study on the selection of movies STEM Journal, 1, 47-64

Trang 15

Lee, N E., Lee, H J., & Jang, D S (2010) A study on the effect of shadowing for the impro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oral communication The Journal of Modern British & American Language & Literature, 28(4), 89- 108

Li, X (2017) Teaching EFL learners shadowing for listening: Developing learners’ bottom-up skills Yo Hamada, Porta Linguarum, 32, 185-186

Martinsen, R., Montgomery, C., & Willardson, V (2017) The effectiveness of video‐based shadowing and tracking pronunciation exercises for foreign language learners Foreign Language Annals, 50(4), 661-680 https://doi.org/10.1111/flan.12306

Miller, L., & Hafner, C (2014) Taking control: A digital video project for English for science students In D Nunan & J C Richards (Eds.), Language learning beyond the classroom (pp 212-222) New York, NY: Routledge https://doi.org/10.4324/9781315883472

Oh, J Y (2000) Movies and syllabus STEM Journal, 1, 75-96

Park, Y (2017) Teaching English idioms through movies: With emphasis on the movie The American president STEM Journal, 18(1), 1-26 https://doi.org/10.16875/stem.2017.18.1.1

Seo, E M (2017) A study on enhancing English proficiency through films: Focusing on Chef STEM Journal,18(4), 107-126 https://doi.org/10.16875/stem.2017.18.4.107

Seo, E M (2018) Cinema-based English learning: Focusing on About time STEM Journal, 19(3), 45-64 https://doi.org/10.16875/stem.2018.19.3.45

Seo, J Y (2020) The effects of intralingual dubbing on Korean EFL learners’ speaking abilit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21), 615-635

Seok, J (2021) A study on effective English teaching using movie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 13(2), 321-333 https://doi.org/10.22143/HSS21.12.2.23

Spring, R (2020) Maximizing the benefits of video-creation PBLL in the EFL classroom: A preliminary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improvement in oral proficiency STEM Journal, 21(4), 107-126 https://doi.org/10.16875/stem.2020.21.4.107

Suh, K S (2019) The effect of shadowing learning on the pronunciation and affective attitude of Korean learners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 82, 503-534 https://doi.org/10.31147/IALL.82.19 Sung, J H (2008) The use of the movie clips and creative drama to help EFL students enhance their speaking

competence STEM Journal, 9(1), 101-120 https://doi.org/10.16875/stem.2008.9.1.101 Unkrich, L (Director) (2009) Toy story 3[Motion picture] United States: Walt Disney Studios

Yang, S W., & Jung, H K (2015) The feasibility of employing movies as a teaching material for improving TOEIC listening ability: Based on the stage directions and dialogues of the movie, Toy story 3 STEM Journal, 16(3), 45-65 https://doi.org/10.16875/stem.2015.16.3.45

Yoon, T., Kim, B., & Lee, S (2021) Effects of movie use on self-efficacy in English speaking among EFL learners of a state-run Polytechnic college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Study, 63(3), 319-343 https://doi.org/10.18853/jjell.2021.3.3.014

Ngày đăng: 27/04/2024, 22:04

Tài liệu cùng người dù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