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hiên cứu đối chiếu giữa lớp từ gốc hán trong tiếng việt và trong tiếng hàn

284 1.4K 2
Nghiên cứu đối chiếu giữa lớp từ gốc hán trong tiếng việt và trong tiếng hàn

Đang tải... (xem toàn văn)

Tài liệu hạn chế xem trước, để xem đầy đủ mời bạn chọn Tải xuống

Thông tin tài liệu

博士學位論文 博士學 位 論文 한국어와 베트남어 한자어의 대조 연구 한국어와 베트남어 한자어의 대조 연구 嶺南大學校 大學院 國語國文學科 國 語 學 專攻 國語國文學科 LE TUAN SON 指導敎授 吳 鍾 LE TUAN SON 2009 年 月 甲 博士學 位 論文 한국어와 베트남어 한자어의 대조 연구 指導敎授 吳 鍾 甲 이 論文을 博士學位 論文으로 提出함 2009 年 月 嶺南大學校 大學院 國語國文學科 國語學 專攻 LE TUAN SON LE TUAN SON의 博士學位 論文을 認准함 審査委員 ㊞ 審査委員 ㊞ 審査委員 ㊞ 審査委員 ㊞ 審査委員 ㊞ 2009 年 月 嶺南大學校 大學院 목 차 서 론 ··········································································································· 1.1 연구 목적 ································································································· 1.2 선행 연구 ····························································································· 1.3 연구 범위 및 방법 ············································································· 양국 한자어의 음절 대조 ······································································· 2.1 한국 한자어의 음절 ··············································································· 2.1.1 음절 성분 ······················································································· 10 2.1.2 음절 구조 ······················································································· 12 2.1.3 음절 연결 ······················································································· 14 2.1.4 음절과 음운 현상 ········································································· 15 2.2 베트남 한자어의 음절 ······································································· 17 2.2.1 음절 성분 ······················································································· 17 2.2.2 음절 구조 ······················································································· 20 2.3 양 국어 한자어의 음절 대조 ··························································· 23 2.3.1 음절 구조의 대조 ······································································· 23 2.3.2 음절 구조 유형의 대조 ····························································· 25 2.3.3 음절 성분별 분절음의 대조 ····················································· 34 양국 한자어의 구조 대조 ····································································· 52 3.1 양국 한자어 구조의 판별 기준 ························································· 52 3.2 한국 한자어의 구조 ············································································· 68 3.2.1 한국 한자 단일어의 구조 유형 ················································· 68 3.2.2 한국 한자 합성어의 구조 유형 ················································· 69 3.2.3 한국 한자 파생어의 구조 유형 ················································· 76 3.3 베트남 한자어의 구조 ········································································· 97 3.3.1 베트남 한자 단일어의 구조 유형 ············································· 97 3.3.2 베트남 한자 합성어의 구조 유형 ············································· 98 3.3.3 베트남 한자 파생어의 구조 유형 ··········································· 105 3.4 양국 한자어의 구조 대조 ································································ 119 3.4.1 단일어의 주조 대조 ··································································· 119 3.4.2 복합어의 구조 대조 ··································································· 123 양국 한자어의 의미 대조 ·································································· 137 4.1 한국 한자어의 의미 ·········································································· 137 4.1.1 字義 ······························································································· 137 4.1.2 의미단위의 분리성 ····································································· 138 4.1.3 의미적 관계에 따른 분류 ························································· 140 4.2 베트남 한자어의 의미 ······································································ 142 4.2.1 字義 ······························································································· 142 4.2.2 의미단위의 분리성 ····································································· 143 4.2.3 의미적 관계에 따른 분류 ························································· 144 4.3 양국 한자어의 의미 대조 ································································ 146 4.3.1 양국 한자어의 字義 대조 ························································· 146 4.3.2 양국 한자어의 의미적 관계 대조 ··········································· 149 4.3.3 양국 한자어의 어휘 대조 ························································· 150 결 론 ······································································································ 158 ······························································································· 165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한자 어원 고찰 도표 ······················ 172 양국 실용 한자어 어휘 대조(표) ········································· 209 영문 초록 ···································································································· 274 서 론 1.1 연구 목적 한국과 베트남은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으나 최근 정치 ․ 경제 ․ 문화 ․ 언어 등 여러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협력 관계를 이루며 이웃 나라처럼 가까워졌다 1992년 한국과 베트남의 공식적인 외교 관계가 수립되면서 양국 간의 경제적 ․ 문화적 교류가 확대되었고 베트남이 대외 개방 정책을 펼치며 한국을 경제 발전의 모델로 삼으면서 한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상호 교류 확대와 한국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확대는 당연히 한국어 구사 능력을 가진 베 트남인들의 수요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2006년부터 베트남에 한국학과를 개설하는 대학들이 생기기 시작하여 하노이 (Hà Nội-베트남의 수도)에 4개 대학, 호치민 시 지역에 5개 대학 등 모두 9개 대학 에 한국학과가 설치되었고, 모든 한국학과의 재학생 수는 1,500여 명에 이르고 있 다 한편 한국학과가 개설되지는 않았지만 한국어 강좌를 설치하여 한국어를 제2 외국어로 교육하고 있는 대학들도 늘어나고 있다 대학 이외에 한국학 연구 기관으 로는 1998년 3월 국립 인문사회과학 연구원 안에 한국학 연구소가 설립되어 세미 나와 한국 관련 도서 번역 등을 주관하고 있다 또한 하노이나 호치민시 같은 큰 도 시에서는 한국어를 교육하는 사설 외국어 학원(센터)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이 들은 베트남에서의 한국학 연구의 발전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이라 할 수 있다 한국의 대학에서 베트남어가 학습되기 시작한 효시는 1966년 한국외국어대학 교의 베트남어과 창설 인가로부터 비롯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양국 간 협력이 다 방면에 걸쳐 심화일로에 있어 학문적으로나 실용적인 면에서 베트남어 학습의 욕 구와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한국과 베트남이 16년이라는 짧은 수교 역사에도 불구하고 여러 분야에서의 관계가 급속히 발전해 온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이와 같이 양국의 관계 가 급속히 발전되어 온 밑바탕에는 두 나라가 역사와 문화적인 면에서 유사점 이 많다는 점이 한 몫을 차지하고 있을 것으로 본다 두 나라 모두 중국의 영 향을 받아 일찍부터 漢字文化圈 내지는 儒敎文化圈에 속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중국 문화의 유입은 언어의 표기 수단인 문자에서도 예외가 될 수 없었고, 동시에 많은 한자어 어휘가 차용되고 생성되는 결과를 낳았다 현대 베트남어에서 한자는 공식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모든 공식 문자를 - - 로마자(즉 Chữ Quốc Ngữ1))로 표기하고 있다 그러나 문자가 바뀌었다고 해서 언 어가 바뀌는 것은 아니므로 베트남어는 아직도 어휘의 약 70%가 한자어로 되어 있고, 한국어에서도 어휘의 대부분이 한자어로 되어 있다2) 현재 한국어 5,000여3)개가 한자의 語源을 가지고 있으며 베트남어 약 3,500 여4)개가 한자의 어원을 가지고 있다 이 한자들은 모두 옛날 중국어와 수천 년의 언어생활 접촉 과정에서 이루어졌다 두 나라 한자 어원들의 의미는 대다수가 서로 비슷한데 발음은 대다수가 규칙적 으로 서로 다른 편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한국어를 처음 배우는 베트남 학생들 은 한국 한자어와 베트남 한자어가 서로 비슷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사실은 중 국에서 만들어져 사용하던 한자는 한국, 베트남과 더불어 일본으로 전해져 사용되 었지만 네 나라의 한자어는 고대로부터 근대와 현대를 거치면서 독자적으로 발전 하게 되었고 한자어의 발음 ․ 구조 ․ 의미에 많은 변화와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고빈도 한자 어를 비교 ․ 대조하여 그들의 음운, 형태, 의미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자 한 다 다시 말하면, 양국 한자어의 음절을 그 구조와 구조 유형으로 나누어 음운론적 으로 비교, 대조하고, 또 한자어를 단일어와 복합어로 나누어 그 구조상의 특징을 형태론적으로 비교, 대조하고자 한다 그리고 양국 한자어의 자의와 어휘를 의미 론적으로 비교, 대조함으로써 양국 한자어의 같고 다른 점을 밝히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록에 제시된 통용 1,800字의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한자 어원 고찰 도표’와 2,353 개에 달하는 ‘양국 실용 한자 어 어휘 대조표’를 작성하였으며, 본 논문의 전개에서는 이들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논문은 외국어 학습자와 교수자의 입장에서 공통적으로 느꼈던 한자어의 음 운, 형태, 의미 및 사용상의 차이에 대한 궁금증에서 출발한 것이다 이 논문에서 얻어진 결과가 베트남 인이 한국어를 학습할 때와 한국인이 베트남어를 학습할 때 기초 자료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믿으며, 상대방의 언어를 배우는 데 많은 도움 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 1) 이 문자는 17세기경 베트남에 기독교를 전파하기 위하여 온 유럽의 카톨릭 신부들에 의하여 그들의 선교의 편의상 만들어졌다 2) 김지환 (1998:3) 3) 동아 󰡔새국어 사전󰡕 (2002:2837) 4) 황반행 (1991:6) - - 1.2 선행 연구 한국 한자어에 관한 자료는 매우 방대하다 주요한 것으로는 다음과 같은 여러 논문을 들 수 있을 것이다 李基文(1991)의 󰡔國語語彙史 硏究󰡕는 어휘사 ․ 어원 ․ 차용어 ․ 고대어 등 네 부분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차용어 부분에서 「근세중국어 차용어」와 「한국어와 중국어 의 접촉에 대하여」라는 두 편의 소논문이 나와 있다 차용어의 연구는 어휘사 뿐 만 아니라 음운사의 관점에서도 중요하다 노명희(2005)의 󰡔현대 국어 한자어 연구󰡕는 한자어 기능 단위의 유형, 접사성 한자어의 판별 기준과 분류, 접두한자어 ․ 접미한자어의 분류와 특성을 연구하며, 이 책에서 개별 한자어의 구체적인 예를 통해 그 용법과 기능, 의미를 파악하여 국 어 단어 형성 과정에서 한자어가 보이는 특징적인 현상을 파악함으로써 이루어진 다 김일병(2000)은 󰡔국어 합성어 연구󰡕 제4장 「한자 합성어의 구조와 형성 원리」 에서 한자 합성어의 판별 기준, 구성 유형 그리고 구성 원리를 살펴보았다 정원수(1992)는 󰡔국어의 단어형성론󰡕 제5장 「한자어 형성론」에서 한자어의 전 래와 어휘화, 한자어의 구조, 한자어 형성의 원리 그리고 한자 어근의 접사화를 살 펴보았는데 이장에서는 국어의 현실에서 한자어가 차지하는 위치를 재인식한다고 논했다 김용한(1998)은 󰡔한자 어소의 의미 기능 연구󰡕 제2장 「한자어의 조어법」에서 한자어의 형성과 유형, 단일어 그리고 복합어를 언급하며, 여기서는 한자어의 단 어 형성에 관한 원리를 분석해 보려한다고 말했다 寄周衍 (1994)은 󰡔近代國語 造語Q 硏究󰡕 제4장 「근대국어의 한자어 파생어」에 서 한자어의 조어법상 특성, 파생접사의 설정기준, 접두파생어 ․ 접미파생어의 양 상 등에 대하여 연구했다 배주채 (2003)는 󰡔한국어의 발음󰡕 제9장 「한자어」에서 한자어의 구조, 한자음 의 음절구조, 한자음의 음절연결 등을 언급했다 박병채(1977)는 󰡔古代國語의 硏究󰡕 제3편 「국어한자음의 모태론」에서 한국한 자음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은 切韻音이며, 강동음의 영향이 근저에 있다 고 논했다 베트남 한자어에 관한 최근 연구 자료는 매우 적다 주요한 것으로는 레딩컨 (2002)의 논문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베트남 한자어(한자어 ․ 베트남 화 한자어)의 음운론적, 문법적(단어, 합성어)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 한국어와 베트남어를 비교한 연구는 많지 않다 조명숙(2003)은 한국 한자음과 베트남 한자음의 음운론적(초성, 중성, 종성)특성과 문법적(단어, 합성어) 특성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고, 김지환(1998)은 현대 베트남 한자음과 한국 한자음의 초성 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한자음을 성모와 운모로 나누어 고찰한 논문에는 레뚜언선(2006)이 있다 그리고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동원 기표 한자어의 모국어 전이 현상을 중심으로 살펴본 논문에는 임보라(2004)가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양 국어 한자어의 음운론적(음절), 형태론적(구조), 의미론적 (자의) 특성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고찰한 연구 업적은 발견되지 않는다 1.3 연구 범위 및 방법 (1) 연구 범위 언어는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의 누적과 공간의 이동에 따라 변화 ․ 발전한 다 어휘도 마찬가지로 음운 ․ 형태 ․ 기능 ․ 의미 등의 면에서 시간 누적과 공간 이동 에 따라 부단히 변화 ․ 발전하게 된다 한자어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에 도입되는 과 정에서 원래의 음운 ․ 형태 ․ 기능 ․ 의미 등이 통째로 차용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내부적 특성과 제약 및 고유의 언어 습관에 따라 적절히 수 정되어 음운 ․ 형태 ․ 기능 ․ 의미 등 여러 면에서 커다란 변화를 가져 왔다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한국어와 베트남어에서는 중국어에 없는 한자어를 많이 만들 어 냈기에 똑같은 형태를 가졌다 할지라도 그 대응 관계는 1:1의 관계가 아니라 그 이상의 복잡한 관계를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삼자 간에는 여전히 일정한 법칙이 존재하므로 한자어 어휘의 공시적 대비를 통하여 그들의 변화 ․ 발전을 설명해야 할 필요성이 인정된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동일시기에 서로 다른 지역에서 일 정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한자어를 공시적 시각에서 대비 하여 양자 간의 같은 점과 차이점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한국어 기초어휘 혹은 교육용 어휘에 관한 연구로는 이충우(1994), 조남호 (2003) 등이 있다 그 중에 조남호(2003)의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 결과 보고 서󰡕(이하 라고 칭함)에서 한국어 학습용 어휘로 선정한 한자어는 2,474 개가 제시되어 있는데, 이 논문에서는 이 자료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기초어휘 혹은 교육용 어휘에 관한 연구 결과들이 여럿 있지만 조남호(2003)의 자료를 택한 이유5)는 다음과 같다 5) 金慧順 (2005:12-13) - - 出退勤(출퇴근) 所(làm việc tan sở) 上下班(shàngxiàbān) 衝擊(충격) 震動(chấn động) 衝擊(chōngjī) 衝擊的(충격적) 性衝擊(tính chấn động) 衝擊的(zhèndòng‧de) 取得(취득) 達-(đạt được) 取得(qǔdé) 致賀(치하) 祝-(chúc mừng) 致賀(zhìhè) 親舊(친구) 伴(bạn) 朋友(péng‧you) 漆板(칠판) 榜黑(bảng hắc = bảng đen) > bảng đen 黑板(hēibǎn) 寢臺(침대) 床寢(sàng tẩm = sàng ngủ) > sàng ngủ 床(chuáng) 寢室(침실) 房-(phòng ngủ) 寢室(qǐnshì) 誕生(탄생) 生日(sinh nhật) 誕生(dànshēng) 脫出(탈출) 逃走(đào tẩu) 逃脫(táotuō) 奪還(탈환) 收回(thu hồi) 奪回(duóhuí) 土臺(토대) 基礎(cơ sở) 基礎(jīchǔ) 討Q者(토론자) 人雄辯(nhân hùng biện > người hùng biện) 發言者(fāyánzhě) > người hùng biện 討Q會(토론회) 演壇(diễn đàn) 討Q會(tǎolùnhuì) 討議(토의) 爭Q(tranh luận) 商議(shāngyì) 通帳(통장) -節儉(sổ tiết kiệm)/-銀行(sổ ngân hàng) 存折(cúnzhé) 退勤(퇴근) -所(tan sở) 下班(xià//bān) 退職(퇴직) 退休(thoái hưu = hưu) 退休(tuìxiū)/退職(tuì//zhí) > hưu/-休(nghỉ hưu) 退職今(퇴직금) 錢休(tiền hưu) 退職今 (tuìzhíjīn) 篇(편) 集(tập)/→(phần) 篇(piān) 便宜店(편의점) -雜貨(tiệm tạp hóa) 編制(편제) 形成(hình thành) 編制(biānzhì) 片紙(편지) 書(thư) 信(xìn) 平素(평소) 常3(thường lệ) 平時(píngshí) 平時(평시) 常3(thường lệ) 平時(píngshí) 品種(품종) 類(loại)/項(hạng) 品種(pǐnzhǒng) 風船(풍선) 氣球(khí cầu) 氣球(qìqiú) 必須(필수) 主要(chủ yếu)/骨要(cốt yếu) 必須(bìxū) 必須的(필수적) 性主要(tính chủ yếu)/性骨要(tính cốt yếu)必須(bìxū‧de) 下校(하교) -學(tan học)/-場(tan trường) 放學(fàng//xué) 學校(학교) 場(trường) 學校(xuéxiào) 學番(학번) 碼數生員(mã số sinh viên) 學號(xuéhào) 學院(학원) 中心(trung tâm) 補習班(bǔxíbān) 割愛(할애) →-(phân chia) →配(fēnpèi) 割引(할인) 減價(giảm giá) 減价(jiǎn//jià) 合算(합산) 共-(cộng chung) 合計(héjì)/合算(hé//suàn) 該當(해당) 符合(phù hợp) 該當(gāidāng) 形便(형편) 情狀(tình trạng) 情形(qíng‧xing) 弘報(홍보) 公告(công cáo)/公佈(công bố) 宣傳(xuānchuán) 化粧室(화장실) -/房衛生(nhà/phòng vệ sinh) 洗手間(xǐshǒujiān) - 264 - 化粧紙(화장지) -衛生(giấy vệ sinh) 衛生紙(wèishēngzhǐ) 環境(환경) 媒場(môi trường) 環境(huánjìng) 活潑(활발) 生動(sinh động) 活潑(huó‧po) 回甲(회갑) 六旬(lục tuần) 花甲(huājiǎ) 會社(회사) 公司(công ty) 公司(gōngsī) 獲得(획득) hoắc đắc > 奪-(đoạt được) 獲得(huòdé) 休業(휴업) -經營(ngưng kinh doanh) 停業(tíng//yè) 洽足(흡족) 妥滿(thỏa mãn) 滿足(mǎnzú) 韓國語 베트남語 中國語 懇切(간절) khẩn thiết : 긴급하고 필수적이다 懇切(kěnqiè) 監督(감독) giám đốc : 사 장 導演(dǎoyǎn) 感受(감수) cảm thụ : 예민한 감각 感收(gǎnshòu) 동형 이의어 決勝(결승) thắng : 승리를 결정짓다 決勝(juéshèng) 經營(경영) kinh doanh : 사업 運營(yùnyíng) 計算(계산) kế toán : 회계, 경리 計算(jìsuàn) 告白(고백) cáo bạch : 공시 告白(gàobái)/吐露(tǔlù) 考査(고사) khảo tra : 취조하다 考査(kǎochá) 高點(고점) cao điểm : 高度(고도) 高點(??) 公衆(공중) công chúng : 군중 公共(gōnggòng) 銅錢(동전) đồng tiền : 돈, 어떤 나라의 화폐단위 銅錢(tóngqián) 博士(박사) bác sĩ : 의사 博士(bóshì) 訪問(방문) vấn : 인터뷰, 면접 訪問(fǎngwèn)/探望(tànwàng) 事業(사업) nghiệp : 중요한 큰 일 事業(shìyè) 傷害(상해) thương hại : 불쌍하다, 동정 傷害(shānghài) 試驗(시험) thí nghiệm : 실험 試驗(shìyàn)/考試(kǎoshì) 氏(씨) thị : 여자의 이름의 일부 氏(shì) 嚴重(엄중) nghiêm trọng : 심각하다 森嚴(sēnyán)/嚴重(yánzhòng) 營業(영업) doanh nghiệp : 기업 營業(yíngyè) 頑强(완강) ngoan cường : 불굴하다 頑强(wánqiáng) 流行(유행) lưu hành : 유통되다 流行(liúxíng) 應答(응답) ứng đáp : 대답하다 答應(dā‧ying) 意圖(의도) ý đồ : 안 좋은 의도 意圖(yìtú) 利害(이해) lợi hại : 잘하다 利害(lìhài) 一等(일등) đẳng : 1급 一等(yīděng) 一切(일체) thiết : 반드시, 절대로 一切(yīqiè) 入口(입구) nhập : 輸入(수입) 入口(rùkǒu) 作成(작성) tác thành : 목표가 작성되도록 도와주다 開(kāi) 點心(점심) điểm tâm : 아침 식사 午飯(wǔfàn) 指摘(지적) trích : 비난하다 指出(zhǐchū)/指摘(zhǐzhāi) 平和(평화) bình hòa : 조용하고 안정시키다 和平(hépíng) 幅(폭) : 큰 조각 幅(fú) - 265 - 表情(표정) biểu tình : 데모, 시위 表情(biǎoqíng) 學院(학원) học viện : 전문학교 補習班(bǔxíbān) 사어화된 베트남어 한자어 韓國語 베트남語 中國語 家口(가구) gia > miệng ăn 家口(jiākǒu) 匣(갑) hạp > tráp / hộp 匣(xiá) 江(강) giang > sông 江(jiāng) 江邊(강변) giang biên > bờ sông 河滨(hébīn) 講師(강사) giảng sư > thầy (cô) 講師(jiǎngshī) 鋼鐵(강철) cương thiết > thép 鋼(gāng) 個(개) cá > / riêng lẻ 个(gè) 個國(개국) cá quốc > (đơn vị đếm)nước 開放(개방) khai phóng > mở cửa / thả 開放(kāifàng) 個月(개월) cá nguyệt > (đơn vị đếm)tháng 个月(gèyuè) 巨大(거대) cự đại > to lớn 巨大(jùdà) 健康(건강) kiện khang > sức khỏe 健康(jiànkāng) 建物(건물) kiến vật > tòa nhà 房屋(fángwū) 建設(건설) kiến thiết > xây dựng 建設(jiànshè) 溪谷(계곡) khê cốc > khe núi 山谷(shāngǔ) 鷄卵(계란) 卵鷄(noãn kê = trứng gà) > trứng gà 鷄卵(jīluǎn) 計算器(계산기) 機算(cơ toán = máy tính) > máy tính 計算器(jìsuànqì) 季節(계절) quý tiết > mùa 季(jì)/季節(jìjié) 固有(고유) cố hữu > vốn có 固有(gùyǒu) 故鄕(고향) cố hương > quê 故鄕(gùxiāng) 公演場(공연장) công diễn trường > sân khấu 劇場(jùchǎng) 工場(공장) công trường > nhà máy 工場(gōngchǎng) 空冊(공책) không sách > 本子(běnzi) 誇示(과시) khoa thị > khoe khoang 誇示(kuāshì) 課外(과외) khóa ngoại > việc làm thêm 課外(kèwài) 觀覽(관람) quan lãm > xem 觀覽(guānlǎn) 敎室(교실) giáo thất > lớp 敎室(jiàoshì) 九(구) cữu > chín 九(jiǔ) 拘束(구속) câu thúc > cầm giữ 拘束(jūshù) 九月(구월) cữu nguyệt > chín tháng 軍人(군인) quân nhân > người lính 軍人(jūnrén) 歸國(귀국) quy quốc > nước 歸國(guīguó) 極場(극장) kịch trường > rạp hát 極場(jùchǎng) 近來(근래) cận lai 近來(jìnlái) 記N(기록) kí lục > ghi 記N(jìlù) 期日(기일) kì nhật > tới ngày hẹn 期日(qīrì) 記入(기입) kí nhập > ghi vào 記載(jìzai) 落葉(낙엽) lạc diệp > rụng 落葉(luòyè) > gần - 266 - 男子(남자) nam tử > trai 男子(nánzǐ) 男便(남편) nam tiện > chồng 丈‘(zhàngfu) 納得(납득) nạp đắc > hiểu 悟解(wùjiě) 來日(내일) lai nhật > ngày mai 明天(míngtiān) 來後年(내후년) lai hậu niên > năm sau 后年 (hòunián) 年(년) niên > năm 年(nián) 老人(노인) lão nhân > người già 老人(lǎorén) 老衰(노쇠) lão suy > già yếu 衰老(shuāilǎo) 綠色(녹색) lục sắc > màu xanh 綠色(lǜsè) 弄談(농담) lộng đàm > nói đùa 開玩笑(kāiwánxiào) 農事(농사) nông > làm ruộng 農事(nóngshì) 多少(다소) đa thiểu > nhiều 多少(duōshǎo) 多幸(다행) đa hạnh > may mắn 大幸(dàxìng) 單番(단번) đơn phiên > lần 一下(yīxià) 答辯(답변) đáp biện > trả lời 答辯(dábiàn) 當時(당시) đương thời > lúc 當時(dāngshí) 對備(대비) đối bị > cẩm nang 防備(fángbèi) 宅(댁) trạch > nhà 宅(zhái) 德→(덕분) đức phận > nhờ ơn 福庇(fúbì) 道D(도로) đạo lộ > đường D(lù) 逃亡(도망) đào vong > chạy trốn 逃亡(táowáng) 圖章(도장) đồ chương > mộc / dấu 印(yìn) 到着(도착) 到(đáo) > đến 到達(dàodá) 等→(등분) đẳng phân 等→(děngfēn)/平→(píngfēn) 登山(등산) đăng sơn > leo núi 登山(dēngshān) 登山D(등산로) đăng sơn lộ 登山D(dēngshānlù) > chia = đường lên núi) > đường lên núi 登場(등장) đăng trường > lối 痲藥(마약) ma dược > thuốc ngủ 毒品(dúpǐn) 萬一(만일) vạn > 萬一(wànyī) 滿足(만족) mãn túc > hài lòng 滿足(mǎnzú) 賣買(매매) mại > 買賣(mãi mại = mua bán) 買賣(mǎimai) 登場(dēngchǎng) > mua bán 賣盡(매진) mại tận > bán hết 賣完(màiwán) 面(면) diện > mặt 面(miàn) 面接(면접) diện tiếp > gặp mặt 會面(huìmiàn) 面會(면회) 會面(hội diện = họp mặt) > họp mặt 面會(miànhuì) 模範(모범) mô phạm > kiểu mẫu 模範(mófàn) 模樣(모양) mô dạng > dáng 樣(yàng) 帽子(모자) mão tử > mũ 帽(mào) 沐浴(목욕) mục dục > tắm rữa 洗澡(xǐzǎo) 無(무) vô > không 無(wú) 舞臺(무대) vũ đài > sàn nhảy 舞臺(wǔtái) - 267 - 無慮(무려) vô lự > không lo nghĩ 無慮(wúlǜ) 門(문) môn > cửa 門(mén) 文字(문자) văn tự > chữ viết 文字(wénzì) 文章(문장) văn chương > câu 文章(wénzhāng) 未滿(미만) vị mãn > chưa tới mức 未满(wèimǎn) 反對(반대) phản đối > trái / sau 反對(fǎnduì) 發見(발견) phát kiến > tìm thấy 發現(fāxiàn) 房門(방문) 門房(môn phòng = cửa phòng) > cửa phòng房門(fángmén) 訪問(방문) vấn > tìm gặp / thăm 訪問(fǎngwèn)/探望(tànwàng) 放聲(방성) phóng > lớn tiếng 放聲(fàngshēng) 防止(방지) phòng > ngăn ngừa 防止(fángzhǐ) 倍(배) bội > gấp 倍(bèi) 百(백) bách > trăm 百(bǎi) 白色(백색) bạch sắc > màu trắng 白色(báisè) 白人(백인) bạch nhân > người da trắng 白人(báirén) 法(법) pháp > phép 法(fǎ) 別(별) biệt >riêng 別(bié) 本來(본래) lai > nguồn gốc 本來(benlai) 父母(부모) phụ mẫu > cha mẹ 父母(fùmǔ) ‘’(부부) phu phụ > vợ chồng ‘’(fūfù) ’人(부인) phụ nhân > đàn bà ’人(fùrén) “者(부자) phú giả > người giàu “翁(fùwēng) 不足(부족) bất túc > thiếu / không đủ 不足(bùzú) 父親(부친) phụ thân > cha 父親(fùqīn) 付託(부탁) phó thác > nhờ cậy 拜託(bàituō) 碑(비) bi > bia 碑(bēi) 比較(비교) tỉ giảo > so sánh 比較(bǐjiào) 飛行(비행) phi hành > bay 飛机(fēixíng) 飛行機(비행기) phi hành > máy bay 飛机(fēijī) 飛行場(비행장) phi hành trường > sân bay 飛机場(fēijīchǎng) 四(사) tứ > bốn 四(sì) 四十(사십) tứ thập > bốn mươi 山(산) sơn = san > núi 山(shān) 殺人(살인) sát nhân> kẻ giết người 殺人(shārén) 三(삼) tam > ba 三(sān) 上(상) thượng > 上(shàng) 床(상) sàng > giường 床(chuáng) 商店(상점) thương điếm > cửa tiệm 商店(shāngdiàn) 生(생) sinh > sống 生(shēng) 書類(서류) thư loại > giấy tờ 文件(wénjiàn) 席(석) tịch > chỗ ngồi 席(xí) 石炭(석탄) 炭石(thán thạch = than đá) > than đá ĩ炭(méitàn) 先輩(선배) tiên bối > đàn anh(chị) 前輩(qiánbèi) - 268 - 先生(선생) tiên sinh > thầy(cô) 先生(xiānsheng) 選擇(선택) tuyển trạch > lựa chọn 選擇(xuǎnzé) 先後(선후) tiên hậu > trước sau 先后(xiānhòu) 設問(설문) thiết vấn > câu hỏi 問卷(wènjuàn) 姓(성) tính > họ xìng 世(세) > đời 世(shì) 歲(세) tuế > tuổi 歲(suì) 世上(세상) thượng > đời 世上(shìshàng) 洗手(세수) tẩy thủ > rửa tay 洗臉(xǐliǎn) 所望(소망) sở vọng > mong muốn 願望(yuànwàng) 小賣(소매) tiểu mại > bán lẻ 零售(língshòu) 所聞(소문) sở văn > tin đồn 傳聞(chuánwén) 所願(소원) sở nguyện > mong muốn 願望(yuànwàng) 孫女(손녀) tôn nữ > cháu gái 孫女(sūnnǚ) 孫子(손자) tôn tử > cháu trai 孫子(sūnzi) 水道(수도) thủy đạo > đường ống nước 水道(shuǐdào) 睡眠(수면) thụy miên > giấc ngủ (shuìmián) 樹木(수목) thụ mộc > 樹木(shùmù) 水素(수소) thủy tố > nước 氫氣(qīngqì) 受信(수신) thụ tín > nhận tin 收信(shōuxìn) 授業(수업) thụ nghiệp > buổi dạy 功課(gōngkè) 宿所(숙소) túc sở > chỗ 住宿(zhùsù) 勝負(승부) thắng phụ > thua 勝負(shèngfù) 時(시) thời / > 時(shí) 視角(시각) thị giác > tầm nhìn 視角(shìjiǎo) 時計(시계) thời kế > đồng hồ 表(biǎo) 詩人(시인) thi nhân > nhà thơ 詩人(shīrén) 市場(시장) thị trường > chợ 市場(shìchǎng) 式(식) thức > kiểu 式(shì) 食口(식구) thực > miệng ăn 食口(shíkǒu) 食後(식후) 後食(hậu thực = sau ăn) > sau ăn 飯后(fànhòu) 新郞(신랑) tân lang > rể 新郞(xīnláng) 新’(신부) tân phụ > cô dâu 新娘(xīnniáng) 失手(실수) thất thủ > lỗi 失手(shīshǒu) 十(십) thập > mười 十二(십이) thập nhị > mười hai 十一(십일) thập > mười 雙(쌍) song > đôi 雙(shuāng) 眼鏡(안경) nhãn kính > mắt kiếng 眼鏡(yǎnjìng) 愛人(애인) nhân 愛人(ài‧ren) 野球(야구) dã cầu > bóng chày 棒球(bàngqiú) 約(약) ước > khoảng 約(yuē) 藥(약) dược > thuốc 藥(yào) > người yêu - 269 - 藥水(약수) dược thủy > nước thuốc 兩(양) lưỡng > hai / cặp 兩(liǎng) 兩國(양국) lưỡng quốc > hai nước 養成(양성) dưỡng thành > dạy dỗ 養成(yǎngchéng)/培養(péiyǎng) 樣式(양식) dạng thức > kiểu mẫu 樣式(yàngshì) 業種(업종) nghiệp chủng > ngành nghề 行業(hángyè) 驛(역) dịch > trạm dừng 驛(yì) 煙氣(연기) ỵên khí > khói 煙氣(yānqì) 年末(연말) niên mạt > cuối năm 年末(niánmò) 年歲(연세) niên tuế > tuổi 年紀(niánjì) 戀愛(연애) luyến > yêu 戀愛(liàn’ài) 軟弱(연약) nhuyễn nhược > mềm yếu 軟弱(ruǎnruò) 戀人(연인) luyến nhân > người yêu 戀人(liànrén) 年賀(연하) niên hạ > tuổi 恭賀新年(gōnghè xīnnián) 熱氣(열기) nhiệt khí > nóng 熱氣(rèqì) 營業(영업) doanh nghiệp > buôn bán 營業(yíngyè) 豫約(예약) dự ước > đặt trước 預約(yùyuē) 豫探(예탐) dự thám > thăm dò 五(오) ngũ > năm 汚物(오물) ô vật 五(wǔ) 汚水(오수) ô thủy > nước bẩn 汚水(wūshuǐ) 誤信(오신) ngộ tín > tin lầm 誤信(wùxìn) > đồ dơ = đồ bẩn 五十(오십) ngũ thập > năm mươi 五月(오월) ngũ nguyệt > tháng năm 汚物(wūwù) 屋上(옥상) ốc thượng > nhà 屋頂(wūdǐng) 外國人(외국인) ngoại quốc nhân > người nước 外國人(wàiguórén) 外人(외인) nhân ngoại > người 外人(wàirén) 外出(외출) ngoại xuất > ra 外出(wàichū) 要約(요약) yếu ước > tóm tắt 要約(yāoyuē) 腰痛(요통) yêu thống 欲求(욕구) dục cầu > ham muốn 欲求(yùqiú) 雨期(우기) vũ kì > mùa mưa 雨季(yǔjì) 憂慮(우려) ưu lự > lo nghĩ 憂慮(yōulǜ) 優美(우미) ưu mĩ > tốt đẹp 優美(yōuměi) 運行(운행) vận hành > chạy 運行(yùnxíng) 右回轉(우회전) hữu hồi chuyển > sang phải 圓(원) viên > vòng tròn 元金(원금) nguyên kim > vốn 本金(běnjīn) 月(월) nguyệt > tháng 月(yuè) > đau hắt lưng 腰痛(yāotòng) 圓(yuán) 月末(월말) nguyệt mạt > cuối tháng 月末(yuèmò) 胃(위) vị > dày 胃(wèi) 違法(위법) vi pháp > gây tội 違法(wéifǎ) 胃腸(위장) vị trường > dày 胃腸(wèizàng) - 270 - 琉璃(유리) lưu ly > kiếng 琉璃(bōli) 有名(유명) hữu danh > tiếng 有名(yǒu//míng) 六月(유월) lục nguyệt > tháng sáu 類ㅝ(유형) loại hình > kiểu 類ㅝ(lèixíng) 六(육) lục > sáu 六(liù) 六十(육십) lục thập > sáu mươi 陸橋(육교) lục kiều 銀(은) ngân > bạc 銀(yín) > cầu vượt 天橋(tiānqiáo) 飮食(음식) ẩm thực > ăn 飮食(yǐnshí) 飮食店(음식점) ẩm thực điếm > nhà ăn 餐廳(cāntīng) 飮酒(음주) ẩm tửu > uống rượu 飮酒(yǐnjiǔ) 衣類(의류) y loại > quần áo 衣服(yī‧fu) 二(이) nhị > hai 以內(이내) dĩ nội > vòng 以內(yǐnèi) 離別(이별) ly biệt > chia tay 離別(líbié) 以上(이상) dĩ thượng > trên/hơn 以上(yǐshàng) 二十(이십) nhị thập > hai mươi 二月(이월) nhị nguyệt > tháng hai 以前(이전) dĩ tiền > trước 以前(yǐqián) 以下(이하) dĩ hạ > / 以下(yǐxià) 以後(이후) dĩ hậu > sau / sau 以后(yǐhòu) 人事(인사) nhân > chào hỏi 招呼(zhāo‧hu)/寒暄(hánxuān) 引上(인상) dẫn thượng > lên 上漲(shàngzhǎng) 人形(인형) nhân hình > đồ chơi trẻ em 娃娃(wá‧wa) 引下(인하) dẫn hạ > xuống 低減(dījiǎn) 一帶(일대) đới > vùng 一帶(yīdài) 一生(일생) sinh > đời 一生(yīshēng)/平生(píngshēng) 一月(일월) nguyệt > tháng 一日(일일) nhật > ngày 入口(입구) nhập > cửa vào / lối vào 入口(rùkǒu) 自己(자기) tự kỉ > 自己(zìjǐ) 子女(자녀) tử nữ > 子女(zǐnǚ) 子息(자식) tử tức > 子女(zǐnǚ) 昨年(작년) 年去(niên khứ = năm trước) > năm trước 去年(qùnián) 作成(작성) tác thành > viết / làm 盞(잔) trản > ly 盞(zhǎn) 潛水艦(잠수함) trầm thủy hạm > tàu ngầm 潛艇(qiántǐng) 長男(장남) trưởng nam > trai 長男(zhǎngnán) 丈母(장모) trượng mẫu > mẹ vợ 丈母(zhàng‧mu) 場所(장소) trường sở > nơi chốn 場所(chǎngsuǒ) 丈人(장인) trượng nhân > ba vợ 丈人(zhàng‧ren) 電球(전구) 燈球(đăng cầu = đèn tròn) > đèn tròn 電燈泡(diàndēngpào) 轉換(전환) chuyển hoán > thay đổi 轉換(zhuǎnhuàn) - 271 - 開(kāi) 前後(전후) tiền hậu > trước sau 前後(qiánhòu) 竊盜(절도) thiết đạo > kẽ trộm / kẽ cắp 盜竊(dàoqiè) 折半(절반) triết bán > chia nửa /chia đôi 一半(yībàn) 點心(점심) điểm tâm > ăn trưa 午飯(wǔfàn) 正答(정답) đáp > câu trả lời 整理(정리) chỉnh lý > xếp 整理(zhěnglǐ) 弟子(제자) đệ tử > trò 弟子(dìzǐ) 組立(조립) tổ lập > xây dựng / lắp ráp 組裝(zǔzhuāng) 照明(조명) chiếu minh > tỏa sáng 照明(zhàomíng) 鐘(종) chung > chuông 鐘(zhōng) 從事(종사) tòng/tùng > 從事(cóngshì) 座席(좌석) tọa tịch > chỗ ngồi 座席(zuòxí) 左右(좌우) tả hữu > trái phải 左右(zuǒyòu) 駐車(주차) trú xa > đậu xe 停車(tíng//chē) 地下(지하) địa hạ > đất / hầm 地下(dìxià) 地下道(지하도) địa hạ đạo > đường hầm 地道(dìdào) 直線(직선) trực tuyến > đường thẳng 直線(zhíxiàn) 職業(직업) chức nghiệp > nghề 職業(zhíyè) 陳列(진열) trần liệt > chưng bày 陳列(chénliè) 進行(jìnxíng) 進行(진행) tiến hành > bước tới 質問(질문) vấn > hỏi 問(wèn)/質問(zhìwèn) 次(차) thứ > lần 次(cì) 車(차) xa > xe 車(chē) 差別(차별) sai biệt > khác 差別(chābié) 差異(차이) sai dị > khác 差異(chāyì) 次次(차차) thứ thứ > 稍稍(shāoshāo) 倉庫(창고) thương khố > nhà kho 倉庫(cāngkù) 窓口(창구) song > cửa sổ 窓口(chuāngkǒu) 窓門(창문) song môn > cửa sổ 窓(chuāng) thiên quốc 天國(tiānguó) 天國(천국) > nhà trời / cõi / cõi trời 天障(천장) thiên chướng > trần nhà 天棚(tiānpéng) 鐵道(철도) thiết đạo > đường sắt 鐵道(tiědào) 淸掃(청소) tảo > quét dọn 淸掃(qīngsǎo) 淸掃機(청소기) tảo > máy hút bụi 吸塵器(xīchénqì) 秒(초) xao > giây 秒(miǎo) 招待(초대) chiêu đãi > mời 招待(zhāodài) 草綠色(초록색) thảo lục sắc > xanh 草綠色(cǎolǜ) 招請(초청) chiêu thỉnh > mời 招請(zhāoqǐng) 招請狀(초청장) chiêu thỉnh trạng > thiệp mời / lời mời 請帖(qǐngtiě) 最上(최상) tối thượng > hết 最上(zuìshàng) 最終(최종) tối chung > lần cuối 最終(zuìzhōng) 最初(최초) tối sơ > trước hết 最初(zuìchū) - 272 - 蹴球(축구) túc cầu > đá bóng 足球(zúqiú) 蹴球場(축구장) túc cầu trường > sân đá bóng 足球場(zúqiúchǎng) 出口(출구) xuất > cửa / lối 出口(chūkǒu) 出國(출국) xuất quốc > nước 出國(chūguó) 出入(출입) xuất nhập 出入(chūrù) 出入口(출입구) xuất nhập > lối vào 出入(chūrùkǒu) 出入門(출입문) xuất nhập môn > cửa vào 門戶(ménhù) > vào 衝擊(충격) xung kích > va chạm 衝擊(chōngjī) 充→(충분) sung phần > đầy đủ 充→(chōngfèn) 層(층) tằng > tầng 層(céng) 齒牙(치아) xỉ nha > 牙齒(yáchǐ) 七十(칠십) thất thập > bảy mươi 七月(칠월) thất nguyệt > tháng bảy 打字機(타자기) đả tự > máy đánh chữ 打字機(dǎzìjī) 太陽(태양) thái dương > mặt trời 太陽(tàiyáng) 土臺(토대) thổ đài > móng 基礎(jīchǔ) 土地(토지) thổ địa > đất đai 土地(tǔdì) 桶(통) đồng > thùng 桶(tǒng) 特許(특허) đặc hứa > giấy phép 專利(zhuānlì) 八十(팔십) bát thập > tám mươi 八月(팔월) bát nguyệt > tháng tám 片道(편도) phiến đạo > chiều 單程(dānchéng)/單面(dānmiàn) 舒服(shū‧fu) 便安(편안) tiện an > thoải mái / dễ chịu 閉鎖(폐쇄) bế tỏa > đóng = khóa 閉鎖(bìsuǒ) 包圍(포위) bao vi > vòng vây 包圍(bāowéi) 表面(표면) biểu diện > mặt 表面(biǎomiàn)/外面(wàimiàn) 必要(필요) tất yếu > cần 必要(bìyào) 下半期(하반기) hạ bán kì > (thời gian) nửa sau 下半期(xiàbànqí) 河川(하천) hà tuyền > sông suối / sông nước 河川(héchuān) 學級(학급) học cấp > lớp 學班(xuébān) 恒常(항상) thường > 經常(jīngcháng)/時常(shícháng) 海物(해물) hải vật > đồ biển 海産品(hǎichǎnpǐn) 海水浴場(해수욕장) hải thủy dục trường > bãi tắm biển 海濱浴場(hǎibīn yùchǎng) 幸運(행운) hạnh vận > may mắn 幸運(xìngyùn) 香氣(향기) hương khí > mùi thơm 香氣(xiāngqì) 向上(향상) hướng thượng > lên / nâng lên 向上(tígāo) 玄關(현관) huyền quan > cổng vòm 門口(ménkǒu) 玄關門(현관문) huyền quan môn > cổng vòm / cổng vào洞門(dòngmén) 滑走D(활주로) hoạt tẩu lộ > đường băng 會食(회식) hội thực > tiệc 會餐(huìcān) 休日(휴일) hưu nhật > ngày nghỉ 假日(jiàrì) - 273 - 跑道(pǎodào) Ph.D Thesis A Comparative Study on Sino-Korean and Sino-Vietnamese Le Tuan So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Jong-Gap Oh) Abstract The aim of the paper is for the comparative analysis on Sino-Korean and Sino-Vietnamese in phonological, morphological and semantic aspect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vocabulary of nouns, verbs, and adjectives In phonological aspect, syllables were examined in the respects of the comparison of syllable structures, the comparison of the syllable structure patterns, and the comparison of syllabic distinctive segmental sounds Sino-Korean has flat structures and Sino-vietnamese has hierarchical structures The syllable of Sino-Korean has divided into three parts: initial sound, middle sound, and final sound while the syllable of Sino-vietnamese has divided intial sound and three rhymes in the first step and secondary sound, primary sound ,and final sound as a subpart in the second step The paper has found out five differences between Sino-Korean and Sino-Vietnamese First, Sino-Korean has 15 consonants and Sino-vietnamese has 20 consonants Sino-Vietnamese - 274 - does not have fortis(ㅆ) and affricate(ㅈ, ㅊ) while Sino-Korean has them Sino-Korean does not have retroflex(ʈ, ʂ), middle consonant((c, ɲ), and labio-dental((f, v) while Sino-Vietnamese has them Secondly, Sino-Korean has eight simple consonants and Sino-Vietnamese 11 Sino-Vietnamese has two short vowels(â /ɤ/, ă /ă/) and back round low vowel(o /ɔ/) while Sino-Korean does not have Thirdly, Sino-Korean has 11 diphthongs while Sino-Vietnamese three diphthongs The diphthongs of Sino-Vietnamese are not the link of a semivowel and a simple vowel but of a simple vowel and a simple vowel unlike Sino-Korean Fourthly, Sino-Korean and Sino-vietnamese both have two semivowels, 'y' and 'w' while the syllabic structures of Sino-Vietnamese have 'w' as a secondary sound unlike Sino-Korean Fifthly, Modern Sino-Korean has 'long and short' as a suprasegmental though not having 'tones' The patterns for 'syllable components' and 'segmental sounds' of Sino-Korean and Sino-Vietnamese have compared and analyzed and the results have been presented in the paper For the comparative morphological analysis between Sino-Korean and Sino-Vietnamese, simplexes and complex words have been compared in the two languages Sino-vietnamese has native words corresponding to simplexes but not in Sino-Vietnamese In the case of not having native words in the formation of simplex, the part of speech of Sino-Korean simplex is a noun for most cases while that of Sino-Vietnamese is a noun, a verb, and an adjective In the case of a noun in the two, Sino-Korean is nouns such as door(門), wall(壁), mountain(山), river(江), lesson(訓) while Sino-Vietnamese is a dependant noun such as value (價), duty(務), gratitude(報), flower(花), outstanding(喉)’ Such as 'etc.' is a noun in Sino-Korean while it is a dependant noun in Sino-Vietnamese Words such as answer(答), feeling(感) etc are nouns in Sino-Korean while they are verbs in Sino-Vietnamese Words such as good(善), evil (惡)’ etc are nouns in Sino-Korean and they are adjective in Sino-Vietnamese Generally speaking, Korean ones are almost nouns - 275 - and Vietnamese ones can be verbs and adjectives with the suffixes such as 'do' and 'become' In the case of complex words, compounds words and derivatives were compared and analysed In the two languages, complex words are almost composed of two syllables In the two languages, in two-syllable complex words and especially three and four-syllable sometimes complex different words, Complex the sequences words in of Korean components are almost are nouns similarly with the case of simplexes, and they sometimes can be verbs or adjectives with the suffixes 'do', 'become', and 'look like' On the contrary, such verbs and adjectives just as mentioned in Korean are verbs and adjectives in their origin in Sino-Vietnamese In the case of reiteratives in the two languages, reiterative complexes in Sino-Korean has the pattern ‘ABAB’ but not in Sino-Vietnamese Sino-Vietnamese has the pattern of ‘AABB’ but not in Sino-Korean The pattern of ‘AA’ will be in the two languages, in the case of reiterative complexes composed of a native word and a Sino-Korean/Sino-Vietnamese The shortened Sino-Korean is parallel while the Shortened Sino-Vietnamese has the characteristics of variety In the two languages, Sino-Korean is parallel or has some diversities in the case of prefixes while Sino-Vietnamese has the characteristics changed as the forms of native words In the semantic analysis, among words compared by 'one to one letter' method, they have different meaning in 7.7% and similar meaning in 92% Central meaning in each letter in the two languages has similarity and difference as expected In the case of peripheral meaning, the two languages have differences almost Specifically, these characteristics just mentioned all of can be the cases classified mainly as four categories―fully same patterns of synonyms, partially same patterns of synonyms('the cases of having different sequences of component parts' and 'the cases of having partial sameness in component parts'), different patterns of synonyms, and homographs―and - 276 - searched for the important and detailed factors in them The result of the study will help target language learners have deeper knowledge of phonological, morphologic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both languages - 277 - and semantical Null [...]... 유형에 따라 1차적으로 에 수록된 한자어들(2,474개)에서 선정한 후, 선정된 어휘에 대응하는 베트남의 한자 어가 모두 있는 것만 2차적으로 다시 선정(2,353개)하여 각각 사전에서 찾아 배열 하였다 한국어 어휘들은 󰡔동아 새 국어사전󰡕, 베트남어 어휘들은 Từ điển Tiếng Việt (국어사전), 베트남어와 한국어의 한자어 어휘들은 󰡔베트남어-한국어 사전󰡕, 베트남어의 한자어 어휘들은 Từ điển yếu tố Hán Việt thông dụng󰡕(통용 베트 남어 한자의 어원 사전)을 참고로 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한국어 한자어 2,353개를 기준으로 삼고, 그것에 대응하는 베트남어 한자어들을 비교 ․ 대조하는 방식을 취한다 그런데 본고에서 다뤄지는 베트남 한자어의 총 수는 2,670개인데,... 하였으며, 본고에서 사용될 자료는 수집 ․ 분석을 통해서 재분류하고 필요한 해석을 보충하였다 - 5 - 상술한 연구 범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은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 결과 보고서󰡕에 수록되어 있는 한자어로 제한한다 2) 이 보고서에 수록된 어휘에 대응되는 한국어의 한자어 ․ 베트남어의 한자어가 󰡔 베트남어-한국어 사전󰡕과 Từ điển yếu tố Hán Việt thông dụng󰡕(통용 베트 남어 한자의 어원 사전) 등에 수록된 어휘 내에 있다고 하더라도 고어(古語)로 서 현재 사용되지 않는 어휘는 연구 범위에서 제외한다 3) 본고는 두 나라의 상용어휘를 연구대상으로 하고 명사 ․ 동사 ․ 형용사로 그 대상 을 제한하며 성어(사자성어) ․ 속어 및 고유명사(인명 ․ 지명)는 연구대상에서... 정확한 의 미 차이를 이해하는 일은 교육의 장에서, 학습자의 입장에서 중요한 일이다 그 외 에 동의어이면서 서로 다른 형태로 쓰이는 두 나라의 한자어, 동소역순어 등에 대 한 대조적 연구도 두 나라 학습자가 상대국의 언어를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일이다6) 앞에서 언급한 󰡔동아 새 국어사전󰡕 ․ 󰡔베트남어-한국어 사전󰡕 ․ Từ điển yếu tố Hán Việt thông dụng󰡕(통용 베트남어 한자의 어원 사전)은 서로 동일한 체계를 갖추고 있는 것은 아니다 분류나 대조 ․ 비교 ․ 분석을 하는 과정에서 선정된 한국 어 학습용 기본 한자어를 기준으로 하여 󰡔동아 새 국어사전󰡕에서 의미를 다시 확 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어휘를 󰡔베트남어-한국어 사전󰡕에서 찾아 그 음절과 구 조, 그리고... 전설모음 입술모양 혀의높이 평순 평순 원순 고모음 /i/(i, y) /ɯ/(ư) /u/(u) 중모음 /e/(ê) /ɤ/(ơ), /ɤ̌/(â) /o/(ô) 저모음 /ɛ/(a) /a/(a), /ă/(ă) /ɔ/(o) ※ 후설모음 /i/ : 益(ích[5ʔik]), 醫(y[1ʔi]) /e/ : 計(kế[5ke]) /ɛ/ : 影(ảnh[4ʔɛŋ]) /ɯ/ : 辭 (từ[ 2tɯ]) /ɤ/ : 肌(cơ[1kɤ]) /ɤ̌/ : 音(âm[1ʔɤ̌m]) /a/: 歌(ca[1ka]) /ă/ : 根(căn[1kăn]) /u/ : 威(uy[1ʔuj]) /o/ : 汚(ố[5ʔo]) /ɔ/ : 午(ngọ[6ŋɔ]) 베트남 한자어의 主(주)이중모음체계 혀의 앞뒤 위치 전설모음 입술모양 평순 평순 원순 /ie/(iê, ia, yê) ... 사전에서 찾아 배열 하였다 한국어 어휘들은

Ngày đăng: 28/02/2016, 20:47

Từ khóa liên quan

Tài liệu cùng người dùng

Tài liệu liên quan